Monthly Housing Europe (2022년 2월) : 코로나 회복 계획과 사회주택 –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사례 외

By |2022/03/08|Categories: Housing Europe,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 현장브리핑|0 Comments

Housing Europe endorses EU's Platform on Combatting Homelessness Working PlanHousing Europe, EU의 노숙자 퇴치 작업 계획에 대한 플랫폼 승인 A call for better knowledge on the drivers of homelessness that make so many vulnerable people fall through the cracks of welfare and housing systems수많은 취약 계층이 복지 및 주택 시스템의 틈새에 빠지게 만드는 노숙자의 원인에 대한 더 나은 지식을 요구합니다. Paris, 28 February 2022 | Published in Social The French EU Presidency has wrapped up a crucial meeting with Member States, European institutions, local and regional authorities, social partners, and civil society, including Housing Europe, that aims at encouraging and supporting actions for homelessness prevention.프랑스 EU 의장단은 노숙자 예방을 위한 조치를 장려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회원국, 유럽 기관, 지방 및 [...]

사회 혁신의 꽃, 리빙랩을 돌아본다

By |2022/02/14|Categories: 새사연 연구, 현장브리핑|Tags: , , |0 Comments

이 보고서는 지난 2021년 11월에 진행된 ‘2021 사회혁신한마당’ 중 <사회 혁신의 꽃, 리빙랩을 돌아본다>를 주제로 한국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를 짚어본 토론회를 정리한 글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희대 대구테크노파크 디지털융합센터 센터장과 김민수 시민참여연구센터 운영위원장, 정서화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선임연구원(발표 순)이 패널로 참석해 각각 ‘시민 참여’, ‘이해관계자의 협력’, ‘정부 혁신’ 등을 주제로 발표했다. 현장과 이론을 두루 이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리빙랩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토론회인 만큼 이날 오고 간 이야기들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고자 세 패널의 발표에 더해 따로 진행한 인터뷰를 덧붙여 하나의 보고서로 정리했다. 부디 이 보고서가 이제 막 꽃봉오리를 맺기 시작한 한국의 ‘사회 혁신 × 리빙랩’이라는 흐름이 향기로운 꽃을 피우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새사연보고서-사회-혁신의-꽃-리빙랩을-돌아본다2021사회혁신한마당-1다운로드하기

Monthly Housing Europe (2022년 1월) : 공정한 에너지 전환권 외

By |2022/02/08|Categories: Housing Europe,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 현장브리핑|0 Comments

Right to a fair energy transition, what does it take?공정한 에너지 전환을 위한 권리, 무엇이 필요할까요? Housing Europe at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dedicated to tackling the energy poverty phenomenon에너지 빈곤 현상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하우징 유럽에 참가 Online, 25 January 2022 | Published in Energy "Public, cooperative, and social housing providers have a unique way of delivering a fair energy transition based on a systemic, district and social approach which can be an inspiration for the private sector," Housing Europe's Policy Director, Julien Dijol said at the highly-attended Right to Energy Forum on 25th January."공공, 협동조합, 사회주택 공급자들은 체계적이고 지역적이며 사회적인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공정한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는 독특한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By |2020/12/29|Categories: 새사연 연구, 현장브리핑|0 Comments

2020사회혁신산마당_믹스테이지_로컬라이프스타일Download 지난 12월 3일부터 일주일간 대전 옛 충남도청과 소통협력공간 일대에서 혁신가들의 축제 <2020 사회혁신한마당>이 펼쳐졌습니다. 첫 날 저녁 ‘로컬×라이프스타일’을 주제로 진행한 첫 번째 믹스테이지에서 나눈 이야기들을 정리했습니다. 제목은 “어떻게 로컬에서 나만의 자원을 찾을까?”입니다. 다른 순서들과 달리 온라인 중계와 녹화 없이 소수의 청중들을 초대해 진행했습니다. [발제] 윤현석 무등산브루어리 대표 우영승 빌드 대표 이용원 월간토마토 편집장 [진행] 윤찬영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현장연구센터장 _2020년 12월 03일 20:00시 _대전사회혁신센터 소통실

[정책 실험과 행정 혁신③] 세계 최고의 스마트시티가 던지는 질문

By |2020/12/03|Categories: 새사연 연구, 현장브리핑|Tags: , , , |0 Comments

<오마이뉴스> "금전적 보상도 없는데... 세계 최고 스마트 시티에서 벌어지는 일"에서 사진과 함께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 시티'가 만들어지고 있다. 첨단 기술의 힘을 빌려 더 똑똑한 도시를 만들려는 움직임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도시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를 새로운 기술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새로운 기술이 때로 새로운 골칫거리를 낳는다는 사실도 놓쳐선 안 된다. 우리 사회를 덮친 전동킥보드를 둘러싼 혼란과 갈등처럼. 더 나은 도시란 어떤 도시일까. 아니 그보다 '더 나은 도시는 누가 결정'하고, 또 '누가 만들어가야 할까'.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아보려고 한다. 세계 최고의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칼라사타마 핀란드 수도 헬싱키 도심에서 북동쪽으로 2km 남짓 올라가면 바다로 둘러싸인 옛 항구 터, 칼라사타마에 닿는다. 우리말로는 '물고기 항구'로, 100년 넘게 항구로 쓰였다. 지금은 세계에서 첫 손에 꼽히는 스마트 시티이자 리빙랩(생활 실험실, Living [...]

광명시 도시재생 주택학교 1기 ‘긋다’ 후기

By |2020/10/27|Categories: 현장브리핑|Tags: , , , , , , |0 Comments

새사연&새사주 공동개발 교육 프로그램 '도시재생 주택학교', 2019년 의정부시와 중구 회현동에 이어 2020년 광명시 도시재생지역을 찾아가다  지난 10월 14일,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 2020년 광명시 도시재생 주택학교 1기 ‘긋다’ ] 의 수료식이 있었습니다. 광명시와 광명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주최하고 새로운사회를여는주택 이 주관한 이 교육프로그램에 광명시 주민 18분이 신청해주셨고, 그 중 코로나 시기에도 불구하고 4차시로 진행한 교육을 열심히 참여하신 14분이 최종 수료하셨습니다.  새사연과 새사주가 공동으로 연구하고 설계해 온 교육 프로그램 ‘도시재생 주택학교’ 는 노후된 저층주거지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율주택정비사업 정책을 소개하고, 주민들이 중심되어 이 방식을 지역에 적용해볼 수 있도록 역량강화 워크샵 진행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교육은 광명시일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중심으로 뉴타운 해제 이후 마땅한 해결책을 찾기 어려워 낙후되고 있는 지역의 문제에 대해 고민이 많았던 주민분들의 참여로 큰 호응을 받으며 운영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