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블로거 2010 경제 토론회’
지난 1월 23일, 오마이뉴스 대회의실에서 ’쾌도난담 2010 한국경제’라는 주제로 블로거 경제 토론회가 있었습니다. 토론회 현장에 오시지 못한 분들을 위해 당일 토론회의 모습을 사진과 간단한 발표 내용 요약으로 알려드립니다.이번 블로거 토론회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테터앤미디어가 공동 주최한 행사입니다. 경제성장률, 실업률 등의 숫자와 수식으로 가득한 경제전망이 아닌 땀과 생활이 있는 경제 전망을 이야기하였습니다.행사는 오후 2시, 초청강연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강연은 본격적인 블로거 토론 전에 현재의 경제 [...]
[187호] 일류 삼성과 한국 국민
IT업계 매출액 최대 기업, 삼성전자 올해가 삼성의 창업자 이병철이 태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라고 한다. 삼성그룹은 이를 맞아 대대적인 기념사업을 계획하고 있고, 그가 사업을 시작한 삼성 상회 터는 부자기운을 받기 위해 찾아오는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고 한다. 때 맞춰 2009년 삼성전자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제일의 실적을 냈다고 하니 삼성으로서는 겹경사를 맞은 듯 기분이 들뜰만하다. 2000년의 영업실적을 보면, 삼성은 매출액 340억 달러로 [...]
현대모비스 생산직 58% ‘사내하청’
현대·기아차그룹의 계열사인 현대모비스에서 일하는 사내하청 노동자의 수가 정규직(생산직)의 1.4배에 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체 생산직 노동자의 58%가 사내하청 노동자인 셈이다.지난해 ‘노후차 세제지원’ 등 정부 정책에 힘입어 경제위기 아래서도 막대한 수익을 올린 기업이 정규직 중심의 ‘착한 고용’ 대신 불안정 고용 형태인 사내하청을 활용하는 것은 응분의 사회적 책임을 도외시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학물가 비상> ① 치솟는 주거비
서울 도심에 있는 대학 주변은 학생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월세가 비싸다. 자취방이나 하숙집은 대부분 40만∼60만 원 선이다. 월 20만∼30만 원대 자취방은 찾기도 어렵지만, 있다 해도 잠만 겨우 잘 수 있는 쪽방 수준인 경우가 많다.
日 ‘잃어버린 10년’ 다시 오나
지난 90년대 중반 부동산 버블 붕괴와 더불어'잃어버린 10년'이라는 긴 침체의 늪을 지나야 했던 일본에게는 새로운 시련이다. 경제 전반에는 디플레이션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고 도요타, 혼다, 세이부 백화점, 일본항공(JAL) 등 일본의 아이콘이라 할 간판기업 들이 줄줄이 좌초했다. 일본의 대표 기업들이 맥없이 무너지는 모습에 충격을 받은 일본인들은 이제'일본의 2등국 추락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대마불사’ 규제, 한국은 글로벌 메가뱅크
<목차> 1. 미국의 새로운 금융규제 개혁안: 볼커 룰2. 대마불사 원리와 개혁 방안3. 미국 금융규제개혁의 아웃라인4. 한국 금융정책의 시사점[요약문] 지난 달 21일, 오바마 행정부는 미국 대형은행들의 ‘대마불사’를 방지하기 위해 규모와 범위를 제한하는 새로운 금융규제개혁안을 발표하였다.먼저 대마불사 원리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개혁 방안들을 소개한다.다음으로, 볼커룰이라 부르는 미국의 새로운금융규제개혁안의 대략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향후 더욱 보완해야 할 과제를 [...]
이병철 탄생 100주년과 글로벌 일류 삼성전자
1. IT업계 매출액 최대 기업, 삼성전자 올해가 삼성의 창업자 이병철이 태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라고 한다. 삼성그룹은 이를 맞아 대대적인 기념사업을 계획하고 있고, 그가 사업을 시작한 삼성 상회 터는 부자기운을 받기 위해 찾아오는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고 한다. 때 맞춰 2009년 삼성전자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제일의 실적을 냈다고 하니 삼성으로서는 겹경사를 맞은 듯 기분이 들뜰만하다.[그림1] 삼성전자와 세계 유수의 IT기업들의 매출액 비교(단위: [...]
[보이지않는위협:국가재정]2차 충격은 정부의 파산일수도…
1999년 외환위기로 국가부도사태가 났었죠. 하지만 그 때는 재정의 위기가 아닌 일시적 외환(달러)의 부족이었죠. 일단 정부가 나서서 IMF로부터 돈을 꿔옴으로써 위기를 해결했지만, 그 와중에 여러 가지 IMF가 요구한 정책에 의해 다수의 기업들이 사라져가면서 많은 실업자를 양산했고, 또한 여러 금융기관이 정리되면서 시민들은 1차 충격을 받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대마불사의 신화가 깨졌죠.2010년. 세기말의 불안을 극복하고 새로운 꿈으로 가득한 21세기가 시작된지 얼마 되지않아 벌써 2번의 경제위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