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에 대한 참여와 관심이 생활을 바꾼다
새사연은 ‘현장보고서’라는 이름으로 인터뷰, 현장 답사 및 관찰 등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현실에서 연구 방향을 찾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서 연구 목적을 찾아 구체적인 대안을 [...]
한미 FTA의 진정한 문제, 지금부터 나타난다
한미 FTA가 발효된 지 어느덧 2년이 지났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지겹도록 되풀이한 얘기지만 한미 FTA의 핵심은 무역수지가 아니다. 원래부터 미국의 전략은 상품시장을 열어 주고 대신 지적재산권, [...]
무엇을 위한 FTA인가?
TPP를 노려 농산물 강국들과의 FTA를 서두르다 한- 캐나다 FTA가 협상 9년 만에 타결됐다. 참여정부 시절의 FTA 로드맵에는 한-캐나다 FTA는 원래 한미 FTA에 앞서 발효하기로 되어 [...]
◈ 페미니즘 강좌 > 여성과 자본주의 (강사 최재인)
[페미니즘] 여성과 자본주의 강의 최재인 4월 5일부터 매주 토요일 저녁 7시30분 (8강, 120,000원) 강좌취지 취업을 준비하면서 처음으로 자신이 여성임을 실감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몇 번 [...]
한국사회의 암 덩어리를 쳐부수자
장면1. “우리 몸의 암 덩어리, 쳐부수자” 의료민영화반대 의사파업으로 혼란스러웠던 3월 10일 월요일, 청와대 회의 중 나온 대통령의 발언이다. 처음 들었을 때는 북한의 소위 ‘최고 존엄’께서 [...]
한국 복지 모델의 명암, 그리고 사회적경제
한 석달여 프로젝트를 하느라 눈코 뜰 새 없었다. 한 광역지자체의 사회적경제 발전 모델을 만드는 것이었는데,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실태 전체를 훑어 보는 기회가 되었다. 주마간산의 덕일까, [...]
[3/31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4년 2분학기 프로그램 안내!
* 다중지성의 정원/갈무리 출판사의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http://bit.ly/17Vi6Wi 태그 : 다중지성의 정원, 철학, 문학, 역사, 영화, 페미니즘, 인문교양, 언어, 생태
삼성을 협동조합으로 만들 수는 없을까?
3월 6일은 고 황유미씨의 7주기이다. 황유미씨는 삼성반도체 직업병 첫 피해 제보자이자 산재 판정자이다. 7년 전 23살의 봄에 백혈병으로 숨을 거뒀다. 그녀의 마지막 짧은 봄날도 지금처럼 [...]
새사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수많은 연구기관, 수많은 보고서, 그 안에 시민은 있는가? 가끔 이력서를 챙겨야 할 때가 있다. 출강을 하거나, 어떤 연구과제에 연구자로 참여할 때 제출해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
줄푸세의 군사적 집행
또 다시 줄푸세 [표1]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주요 내용출처 :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가 배포한 위의 표는 그럴 듯하다. 혁신경제구축은 김대중 정부 시절처럼 돈을 퍼부어 또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