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전망보고서2021-04-14T18:24:21+09:00

이슈진단(133) 2015년 10월 노동시장 분석 : 금융위기 이후 한국 노동시장의 변화

By |2015/12/0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

2015년 10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5년 9월 고용률은 60.9%로 전년동월과 동일 -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전년동월과 동일 - 전년동월과 비슷한 수준의 고용지표 유지. 금융위기 이후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던 고용지표가 최근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양상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일자리의 창출 속도가 느려졌음을 의미함. 경제성장률 정체가 계속되고, 경제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

위클리펀치(483) 인턴십? ‘열정 같은 소리하고 있네’

By |2015/12/02|Categories: 새사연 칼럼|

  인턴사원                        옥유림 커다란 나무 위에 둥지를 꿈꾸던 새 쉬지 않고 날다 지쳐 임시 둥지 틀었다 작은집 휘청거려도 다행이라며 웃는다   임시 둥지 인턴십 위 시는 2014년 시조시학에 실린 옥유림 시인의 <인턴사원>이라는 시이다. 처음 이 시를 접했을 때, 취업준비를 하며 매일을 초조하게 보내던 때가 생생하게 기억났다. 대학원 졸업 후 [...]

위클리펀치(482) 주관적 역사서, 마을도 인정하는데

By |2015/11/25|Categories: 새사연 칼럼|

정부나 시의 힘을 빌리지 않고 지역 안에서 활동하는 단체와 주민들이 스스로의 고민거리를 하나씩 들고 이야기하는 판이 벌어져 눈길을 끈다. 최근에 마포 지역의 활동과 지역 현안을 터놓고 이야기하는 ‘2015년 마포 로컬리스트 컨퍼런스’가 열렸다.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마포구에서 활동하는 54개 단체와 단체 안팎에서 활동하는 95명이 마음과 돈과 시간과 장소를 내어 전체 27개의 주제로, 진지한 동네잔치가 여기저기에서 벌어졌다. 이야깃거리도 생활기술, 문화예술지원, 지역공유지, 민관협력, [...]

[후기] <확!新![확:신]광장:제6탄> “청년문제 또 다른 지표, 청년 니트(NEET)” 후기

By |2015/11/24|Categories: 새사연 공지, 새사연 활동후기|

  바람이 제법 차가웠던 지난 11월 19일, ‘청년 니트족’이란 무엇인지, 청년고용 문제에 해답은 없을지를 논의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비롯하고 많은 분들이 홍대 가톨릭 청년회관에 모여주셨습니다. 새사연에 몸담고 있는 김수현 노동경제 상임연구원으로부터 청년고용문제의 여러 원인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들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란 미취업자 중 정규교육이나 직업훈련을 받고 있지 않는 이들을 의미합니다. 1990년대 말 영국에서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건강법

By |2015/11/2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임상 20년 한의사가 달리며 검증한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건강법 ​예방한의학 전공 박사이자, 임상 경력 20년인 한의사가 100일간의 아침운동에 도전했다. 36인치에 이른 뱃살, 나날이 늘어가는 술과 담배, 뒷산 약수터도 귀찮은 저질 체력, 사소한 일에 불끈하는 다혈질 성격... 이 모든 것과 결별하고 꽃중년 인생2막을 시작하기 위한 무데뽀식 아침운동 도전기가 때론 눈물겹게 때론 코믹하게 펼쳐진다. 가장 원초적인 걷기 달리기 등산만으로도 현대인의 운동은 [...]

위클리펀치(481) 청년정책의 뉴 패러다임, 서울시 ‘청년수당’과 성남시 ‘청년배당’ 비교

By |2015/11/18|Categories: 새사연 칼럼|

지방정부, 새로운 패러다임의 청년정책 제기 최근 몇몇 지방정부에서 독자적인 청년정책을 수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오랫동안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청년정책은 많은 논의와 검토, 그리고 일부 시행이 이루어진 바 있으나 그 실효성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10월 1일의 성남시 ‘청년배당’ 정책과 11월 5일의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정책은 기존과는 다른 패러다임을 담고 있는 청년정책이라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청년실업으로 대표되는 [...]

이슈진단(132) 생활비, 어디부터 줄일까요?

By |2015/11/12|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

통계청에서 매년 조사하는 「사회조사」는 가족, 보건, 복지, 교육, 사회참여, 노동,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환경, 안전 등 10개 부문을 5개 부문씩 나누어 격년으로 조사하고 있다. 홀수 해에 조사되는 「소득과 소비」 부문에는 이런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만약 귀 가구의 재정상황이 악화된다면, 어떤 항목의 지출을 가장 먼저 줄이겠습니까?” 3순위까지 응답할 수 있는데 선택지는 다음과 같다: 식료품비, 외식비, 의류비, 교육비, 교통․통신비, 문화여가비, 보건의료비, [...]

위클리펀치 (480) 사회를 보는 눈, 센서스의 기원

By |2015/11/10|Categories: 새사연 연구, 새사연 칼럼|

구약성서 민수기 1장에 보면 “이스라엘 자손이 에굽 땅에서 나온 후 둘째 해 둘째 달 첫째 날, 여호와께서 시나이산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모든 이스라엘 자손 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명수대로 계수하여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만한 모든 자를 계수하라.”는 구절이 나온다. 성경에 따르면 이 때 집계된 장정이 총 603,550명이었다고 한다. 민수기(Numbers)라는 명칭은 이처럼 사람의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