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와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2019년 8월부터 11월까지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그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합니다. 전체 보고서(원문)는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원문 : https://sbnet.or.kr/publications/46954/)

연구의 목적

2012년부터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사회적경제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성북구에서는 수 많은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이 주민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동들이 사회적·경제적으로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현황 분석

  • 마을공동체 사업 및 사회적경제주체 수
  •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 마을공동체 사업의 경제활동 (보조금 및 자부담에 따른 소비지출)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연계과정 분석

  • 활동간 연관관계를 연계(동일시점), 흐름(다음 시기 활동과의 연계), 변화(다른 관심주제의 활동에 대한 참여)로 구분하여 분석
  • 행정동별로 어떤 사업이 어떤 사업과 연계되는지 분석
  • 사회관계망분석 기법 적용
마을공동체 연계과정 분석 모형
마을공동체 연계과정 분석 사례(길음1동, 2014년)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영향분석 모형 개발

  • 사회적 영향 평가 방법론 고찰
  • 영향분석 모형 구조 설정 (사회계정행렬)
  • 영향분석 모형 구축
  • 성북구 공동체 활동에 따른 영향분석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영향분석 모형 기본구조

연구의 시사점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북구의 마을공동체 활동은 상호간 활발하게 연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 그에 따른 공동체 활성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동일 시기보다 이후 시기에 연계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공동체활성화의 효과가 잘 보이지 않더라도 그 효과가 서서히 드러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성북구 마을공동체 및 사회적경제 조직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효과를 양적으로 측정하였다. 투입된 자료의 한계와 양적으로 가늠하기 어려운 여러 요소들이 쓰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즉 마을공동체의 일부 요소만 반영하였음에도 충분한 경제효과와 주민참여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성과는 마을 현장의 주민들이 쏟은 노력에 따른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성북구의 마을지원 정책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더불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도 중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행정동별로는 아직 마을공동체 활동과 사회적경제가 활발하지 않은 지역도 나타나고 있다. 마을공동체 활동과 사회적경제가 지니는 긍정적인 잠재력을 고려할 때 좀 더 적극적인 촉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마을공동체 활동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관련 정책을 유지 보완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

연구보고서 다운 받기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