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와 협약을 맺어 <로컬랩 동네발전소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목차]

  1. 연구의 개요
    • 연구의 배경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방법
  2. 연구모형의 설정
    • 연구자료의 구축
    • 사회관계망분석의 이론적 배경
    • 서울시 마을공동체 연계 구조 분석모형 설정
  3. 1기 마을공동체 활성화 구조
    • 마을공동체 활성화 기본 현황
    • 마을공동체 연계 과정 분석
    • 마을공동체 연계 유형
  4. 로컬랩 동네발전소
    • 사업 개요
    • 마을별 사업 내용
    • 로컬랩 동네발전소 연계 구조
    • 로컬랩 동네발전소의 효과
    • 로컬랩 동네발전소에 대한 만족도
  5. 요약 및 시사점
    • 연구 결과 요약
    •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과제

[연구의 배경]

마을공동체의 다양성과 역동성
마을에는 다양한 주민들이 있다. 어떤 이는 작은 공방을 소망하다가 메마른 골목에 축제라는 물을 주고 더 나아가 동네 아이들을 마을의 주체로 만들기 위한 마을학교를 꿈꾸고 있을지도 모른다. 어 떨 때는 그 과정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것 같은 막막함과 고단함이 어깨를 짓누를지도 모르지만 돌이켜보면 그의 곁에 많은 이웃이 함께했을 것이다.

마을살이는 태생적으로 누군가와 같이 하는 작업이다. 마을공동체라는 플랫폼에 올라 ‘우리’의 꿈을 이루게 할 무언가를 끊임없이 기다리거나, 혹은 누군가가 애타게 기다리는 그 무엇이 되기도 하는, 그 위에 오른 다양한 주민들과 부단한 대화를 나누고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인식을 하든 못하든, 마을살이를 꿈꾸는 주민은 수많은 주민들로 붐비는 마을공동체라는 역동적인 관계의 장에 발 을 들여야 한다.

이처럼 다양하고 역동적인 마을공동체의 특성으로 인해 정책적으로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것은 매우 까다롭고, 단기간에 구조적이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마을공동체를 지원한 이래 여러 측면에서 성공적인 사례가 적지 않았지만, 그러한 성공 사례가 지속적으로 마을공동체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는지는 재차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지원방안을 꾸준히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가지고 서울시와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는 2019년 4월에 “근린 단위 주민참여생태계 구축과 지역의제 해결을 통해 주민의 권한을 신장하고 동네 발전을 도모하고자 2019년 로컬랩 동네발전소”을 공모하였다. 최대 3년 동안 연속 지원을 하는 사업이므로 사업 제안자는 최초 사업 제안 시 3년간의 활동 비전을 작성해 참여한다. 마을공동체라는 역동적인 관계의 장에서 실질적인 공동체 활성화를 이뤄내기 위해 2명 이상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도록 하는 조건도 있다. 이 연구는 1년 차를 마무리하는 로컬랩 동네발전소를 중간 점검하는 성격을 지닌다 고 볼 수 있다.

공동체 활성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
시행된 지 1년도 지나지 않은 사회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학술적으로 어려운 작업이다. 구조적이며 근본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수치로 드러나는 정량적 효과조차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연구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다행스럽게도 서울시의 경우 2012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의 제안서와 결과보고서를 꾸준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왔다. 정확한 마을공동체의 진단은 어려울지 모르지만, 이 자료를 바탕으로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큰 줄기를 살펴보는 것은 가능하리라 본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된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로컬랩 동네발전소의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현실적이라 여겨진다.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해볼 수 있는 것으로 마을공동체의 연계 과정이 있다. 어떤 사업이 어떤 사업과 연계되어 차기 연도로 이어지는지 참여자를 매개로 추적해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사업의 마을공동체 연계 구조를 사회관계망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2019년 활동을 통해 로컬랩 동네발전소가 만들어낸 연계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간 효과를 검토해보고자한다.

연구보고서 다운 받기

연구보고서(2019) 로컬랩 동네발전소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