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펀치(564) 신뢰와 연대는 협동조합의 경쟁우위가 될 수 있을까?
대학원 마케팅 수업 시간에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를 비교하면서, 전통시장이 아무리 시설 현대화에 투자한다고 해도 전통시장에 가는 이들의 필요(needs)와 대형마트에 가는 이들의 필요가 다르기 때문에 대형마트 고객을 전통시장으로 끌어올 수 없다는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당시 이 주장에 어느 정도 수긍하면서 한편으로는 전통시장이 언젠가는 사라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씁쓸함을 느꼈다. 개인적으로 시장에서 유년기를 보냈기에 전통시장에 대한 애정이 큰 탓도 있지만, 시설 [...]
[공지] 새사연 사무실 이전 안내
안녕하세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입니다. 지난 목요일 이사 함으로써 새사연이 마포 시대를 마치고 영등포 시대로 돌입했습니다. 새로 옮기 사무실은 국회 부근 여의2교 앞, WOW한국경제TV 맞은 편 우성빌딩입니다. 자세한 주소 및 오시는 길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주소를 제외한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는 변함이 없으니,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과거 연락처로 편하게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영등포에서 더욱더 열심히 하는 새사연을 기대해 주시길 바랍니다. [...]
위클리 펀치(563) 미국, 탐욕스러운 금융 다시 돌아오고 있다.
지난 6월 8일(현지시간) 미 하원은 도드-프랭크법(월스트리트 규제 및 소비자보호법)을 무력화 시키고 대체법안으로 삼을 금융 선택법(Financial CHOICE Act)을 233대 186의 표결로 통과시켰다. 이제 상원의 표결만 남았다. 그러나 상원을 통과하는 것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전체 100명 상원의원 중 60명이상이 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미 상원 구성은 공화당은 52석, 민주당은 46석, 무소속이 2석이어서 민주당 이탈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상원 통과는 어려울 [...]
위클리 펀치(562) 선진국 벤치마킹 시대는 끝났다
온갖 문제투성이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붙는 자랑스러운 수식어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식민지를 경험한 나라들 중에서 보기 드물게 산업화와 민주화에 동시에 성공한 나라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산업화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덧붙여지는 표현이 있다. ‘초고속 압축 성장’이 바로 그것이다. 수치로 확인해 보자. 2005년 달러 가치 기준으로 1960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1,107달러였다. 54년이 흐른 2014년에 이르러 그 수치는 2만 4,565 달러로 약 22배 [...]
[현장보고서] 청년 주거지로서 서울 1세대 아파트 탐험기 ①
새사연은 ‘현장보고서’라는 이름으로 인터뷰, 현장 답사 및 관찰 등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본 글은 새사연 정회원 황서연님이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저소득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적정 주거지를 발굴하기 위해 부흥주택, 1세대 아파트 등의 현장을 답사했습니다. - 편집자 주 이 탐험기는 작년(2016년)에 일어났던 실화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임산부나 노약자 및 심신이 불안정하신 분들도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으나 대부분의 세상일들이 그렇듯 마음같이 [...]
위클리 펀치(561) 새 정부 일자리 정책에 대한 박수와 우려
후보시절부터 일자리 문제를 우선으로 해결하겠다던 문재인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일자리위원회 설립 및 운영방안’을 위한 업무지시에 서명을 하였다는 소식은 상당히 충격이었다. 그 이유는 당장이라도 일자리 문제가 해결될 것 같은 희망 때문이었다. 희망을 실현시킬 듯이 빠른 속도로 일자리위원회 설치가 확정되고, 인천공항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었으며, 18가지 실시간 지표를 담은 일자리 현황판이 대통령 집무실에 설치되는 등 새 정부가 들어선 후 짧은 기간 안에 일자리 문제에 대한 [...]
이슈진단(165) 관계와 숫자로 마을공동체 드러내기
지난 5월 18일, 서울시 지역공동체담당관과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공동주최로 2017년 제2차 마을공동체 이슈 포럼이 열렸다. 이 자료는 포럼에서 발표한 「마을공동체의 사회경제적 의미 : 모기동이 살아있다」의 제출본에 자세한 설명을 단 것이다. ※ 발표자료의 최종편집본은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seoulmaeul.org)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지속되어야 하는 것은 ‘사업’일까? 아니면 ‘공동체’일까? 여러 지자체에서 공동체사업을 평가하기 위해 보조를 받은 ‘사업’의 지속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때에 따라서는 사업의 지속 여부를 보조금이 끊긴 이후 [...]
위클리 펀치(560) 공공임대주택 입주자격과 ‘매칭’의 기술
얼마 전, 대학원 수업에서 교재로 앨빈 로스(Alvin E. Roth, 2012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매칭, Who Gets What - and Why』(2015)을 읽었다. 이 책은 일반적인 시장에서 작동될 수 없거나 작동되어서는 안 되는 신장 이식 시스템, 고등학교 배정 방식, 구인구직 시장 등의 상황에서 수요와 공급을 효과적으로 매칭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평소에 갖고 있던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