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전망보고서2021-04-14T18:24:21+09:00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의 경제적 효율성

By |2021/08/0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연구소개, 이슈진단|Tags: , , , , |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의 경제적 효율성을 살피는 것에 목적을 두고 사회계정을 접목한 비용편익분석을 수행한 연구를 요약합니다. 주택가격 상승이라는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원문은 공간과사회 제31권 2호에 게재된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의 경제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이며 한국공간환경학회(http://www.kaser.or.kr/index.asp) 및 한국학술정보 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원문 링크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96356) 사회문제로 거론되는 서울의 집값 한국감정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2020년 한 해 동안 4% [...]

[사회주택_이슈]토지임대부형 사회주택과 임대보증금 보호

By |2021/06/2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연구소개, 이슈진단|

2020.8.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개정으로 임대사업자의 보증금 보증(보증금 반환 보험) 가입 의무가 2021.8.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최근 몇 년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갭투기로 인한 보증금 반환사고(깡통전세)를 생각하면 이러한 법개정은 임차인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비영리주거를 지향하는 사회주택 사업자(특히 토지임대부형 사회주택 사업자)는 보증금 보증을 가입하고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려고 해도 보증기관에서 보증 가입을 거부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토지임대부형 사회주택에서 [...]

[포럼] 사회적 주택 공급성과와 발전방향

By |2021/06/23|Categories: 새사연 공지|Tags: , , , , , , , , |

새사연이 (사)한국사회주택협회, (사)나눔과미래와 '사회적 주택 공급성과와 발전방향' 포럼을 개최합니다. 매입임대주택을 활용한 사회적 주택은 운영기관을 통해 청년층을 중심으로 관계성 회복을 도모하고 기존 공공임대의 한계를 보완하는 정책으로 2016~2020년까지 총 1,845호(한국사회주택협회 데이터)가 공급되었습니다. 단기간에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에 기여해 온 사회적 주택은 최근 '기존주택등 매입임대주택 업무처리지침'의 개정(2020.12.9. 개정)으로 청년층 중심이었던 입주자격이 일반취야계층, 신혼부부, 고령자에게로 확대되기도 하였습니다. 또, 2020년 상반기부터는 LH매입약정형 사회주택이 추진되면서 주택공급 단계에서부터 수요자 [...]

#BuildingCommunities – 우리 사회에 의미있는 보답

By |2021/05/09|Categories: Housing Europe|Tags: , , , , |

BuildingCommunities. BBC StoryWorks Commercial Production에서 제작한 탐사 프로그램 시리즈에서 Housing Europe은 유럽 전역에서 사회 판도를 바꾸고 있는 진보적인 사회주택 및 저렴주택(affordable housing) 구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리즈는 사회, 협동조합, 공공, 커뮤니티 기반 주택 부문의 혁신과 사회공동체에 대한 강력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지난 몇 년 동안 유럽 전역에서 주택 문제는 악화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무엇이 필요하고 인간을 하나로 묶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도 [...]

사회적 감시 부재에 뒤따르는 비리, 언제까지 용납할 것인가

By |2021/03/15|Categories: 새사연 연구, 새사연 칼럼, 이슈진단|Tags: , , , , |

최근 드러난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에서 드러나듯이, 공공영역에 대한 사회적 감시 부재는 필연적으로 부패로 이어진다. 공공영역에 대한 적절한 감시와 견제는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필수 요소이다. LH 직원들의 공공개발계획을 이용한 조직적인 투기행위가 드러난 후 전 국민이 분노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얼마 전까지 박빙이었던 보궐선거 후보자 간의 지지율이 크게 뒤집어져서 여당 후보는 야당 후보 누구와 견주어도 10% 이상 지지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

마을공동체, 주민참여, 협치 – 새로운 시장에게 요구해야 할 기본가치

By |2021/03/11|Categories: 새사연 연구, 새사연 칼럼, 이슈진단|Tags: , , , , , |

4주 후에 서울시와 부산시의 시장 보궐선거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광진구마을자치센터'에서 '우리가 원하는 서울'이라는 뉴스레터를 내었습니다. 46명의 주민의 소망을 담은 내용입니다. 뉴스레터에 기고한 글인 '마을공동체, 주민참여, 협치 - 새로운 시장에게 요구해야 할 기본가치'를 공유합니다. 뉴스레터 전문은 광진구마을자치센터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뉴스레터 전문 : https://blog.naver.com/gjmaza/222268603370 도시계획이란 그림을 그리는 것이라 여겨지던 시절이 있습니다. 똑똑하고 합리적인 도시계획 전문가들이 쓱쓱 그려낸 청사진이 그대로 빌딩이 되고 [...]

재난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과 민관협력방안 – 시민사회 코로나19 대응활동 분석(요약)

By |2021/02/28|Categories: 새사연 연구, 연구소개, 이슈진단|Tags: , , ,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시민사회현장연구자모임 들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단법인 시민 등의 활동가와 함께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재난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과 민관협력방안 연구'(연구책임 김소연. 시민사회연장연구자모임 들파)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내용 중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연구진이 수행한 시민사회 코로나19 대응활동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합니다. 전체 보고서(원문)는 정책연구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원문 : https://www.prism.go.kr/homepage/ ※ '재난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과 민관협력방안'으로 검색) 연구결과의 요약 시민사회는 [...]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

By |2021/02/2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연구소개, 이슈진단|Tags: , , , , |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와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2019년 8월부터 11월까지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그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합니다. 전체 보고서(원문)는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원문 : https://sbnet.or.kr/publications/46954/) 연구의 목적 2012년부터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사회적경제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성북구에서는 수 많은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이 주민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동들이 사회적·경제적으로 얼마나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