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의 어느 여름 밤, 마포 신수동에 있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에서는 ‘여성주의 소모임’ 시즌2 첫 모임이 열렸다.

지난 3월 처음 진행했을 때에 비해 여성주의가 더욱 더 예민하고 주목 받는 주제가 되어 있어 주최하는 입장에서는 많은 부담감이 동반되었다. 이 시점에서 내가 시즌2를 여는 것이 어떻게 회원들에게 보여질까? 全 회원들에게 내가 생각하는 여성주의가 제대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 괜히 잔잔한 새사연을 이슈의 한 가운데 빠트리는 건 아닌가? 회원이 줄어 들면 어쩌지? (정의당 탈당 사태에 놀란 홍보담당자의 솔직헌 심정) 등등의 마음이 들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내가 모임을 열 수 있었던 것은 사실 토닥과 함께한 시즌1의 활동에서 여성주의에 대한 확고한 나의 정의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하는 여성주의는 ‘남성과 여성이 평등해 지는 것, 그리하여 남성과 여성 모두 성별과 ‘성별’다워지는 것(ish) 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즉, 여성주의 운동은 사실 단순 여성해방운동이 아니라, 모든 인류의 성별 해방운동이 되는 것이다.

feminism definition

그리고 맙소사, 새사연이 이슈파이팅을 두려워하다니…… 그래서 우리는 모였다.

첫 모임은 2030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직업은 구직자, 대학생, 연구원 등으로 다양했다. 첫 모임답게 간단한 자기 소개, 모임의 취지, 나아갈 방향, 참가 동기에 대해서 나눴는데 소모임 참가 계기도 단순 관심부터 학습의 욕구, 군 가산점이나 데이트 비용 등 삶 속에서 만날 수 있는 젠더 문제의 직면 등 다양했다.

간단한 자기 소개를 마친 뒤 YouTube를 통해 여성주의에 대한 개념을 보고 서로 논의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 동영상에 주목했는데 OECD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대사회에서 여성주의자들이 말하는 성별 불평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동영상이었다. 사실 동영상은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는 심각한 오류를 전제로 진행되었기에 사실 동영상 내의 주장은 타당하지 않아 보였다. 송민정 참가자는 해당 데이터는 자신이 석사 논문에 사용한 데이터와 동일함을 밝히며 자신은 그 데이터를 가지고 여성노동 불평등을 주장하였다고 말했다. 하나의 데이터가 화자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전달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경우였다. 안타깝게도 우리의 논의에서 문제가 있다고 결론 내려진 동영상의 조회수는 92만뷰였다.

성폭력이 더 이상 큰 이슈가 되지 않는 사회와 여성이 데이트를 할 때 동반되는 잠재적 폭력의 가능성을 비판하는 동영상을 거쳐 마지막으로 본 동영상은 Katie Goodman의 Sorry Babe, You’re a Feminist (미안하지만 넌 여성주의자다) 였다. Katie는 ‘레즈비언’ ‘남성을 혐오하는 사람’ 등으로 대표되는 여성주의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상의 정의를 풍자하며, 오늘 날 여성이 능력을 펼칠 수 있고 투표 및 운전을 할 수 있으며 아내 이상의 존재임을 누릴 수 있는 모든 것이 과거 여성주의 운동의 결과물임을 밝혔다. 또 여성주의자란 남자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교를 간다는 이유로 매맞는 소녀, 남성보다 2배 더 빈곤 속에 사는 여성들 등의 현실이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모든 이들이라고 노래한다.

사실 여성주의는 유별난 것이 아니다. 여성주의자도 유별난 사람들이 아니다. 우리가 그간 교육 속에서 배워 온 인간적인 삶, 균등한 기회제공, 생활 속에서의 안전 등 상식적으로 당연한 것을 성별에 상관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이들이 여성주의자인 것이다. 진짜 여성주의 가짜 여성주의가 어디 있겠는가? 미국 코메디언 Aziz Ansari 의 말처럼 ‘양성이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걸 믿는다면’ 당신은 여성주의자인 것이다.

다음 모임은 2주 뒤 목요일인 8월 25일에 진행될 예정으로 시즌2의 첫 도서는 ‘이갈리아의 딸들’ 이다. 본 도서를 읽고 인상적인 부분을 발췌한 후, 그 부분에 대한 동의/비동의, 현대 사회와의 비교 등을 자유롭게 준비해 와 논의할 예정이다.

여성주의 소모임의 문은 항상 열려있다. 참여를 원하신다면 02-322-4692 / edu@saesayon.org 로 언제든지 연락 주시길 바란다. 자유로운 여성주의자의 참여를 기다리겠다.

새사연 ‘여성주의 소모임’ 신청하기

 

위클리 펀치(606)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변경과 재건축 논란

공동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변경 정부는 2018년 2월 도시정비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변경하였다. 변경된 안전진단 기준은 구조안전성의 기준을 종전 20%에서 50%로 확대하고 주거환경의 비중을 종전 40%에서 15%로 축소하는 것을 중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gungli.net     지난 2월, 독립연구를 위한 '연구자-후원자' 프로젝트를 기억하시나요? 연구자 모집 안내가 나간 후에, 폭발적인 관심을 보여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새사연에서는 문화사회연구소(문사연)과 함께 지난 3개월 동안,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를 [...]

위클리 펀치(605) 그들은 무얼 믿고 안철수를 따라 갔을까?

잠시 지나가 버린 정치권 이야기를 떠올려 본다. 안철수가 유승민과 손잡고 지금의 바른미래당을 만들 때의 이야기이다. 다수의 호남 지역 의원들은 안철수 행보에 강력 반발했다. 결정적 요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반대하는 유승민과는 결코 손잡을 수 없다는 [...]

[무료초대: 4월 확!新!광장] 한반도 평화회담, 어떻게 볼 것인가?

    2018년 4월 확신광장 주제는 '한반도 평화회담'입니다.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연일 뉴스에서 한반도 내 평화회담이 보도되고 있는데요. 이번 확신광장에서는 한반도 정세와 평화회담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볼 것인지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 강연 제목 : [...]

위클리 펀치(604) 서울 ‘도전숙’과 일본 ‘토키와 장’

처음 들었을 때는 ‘도전숙(도전宿)’이 도씨 성의 인명인 줄 알았다. 알고 보니 도전숙은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의 숙소라는 의미로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SH공사)와 각 자치구에서 창업을 했거나 계획 중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예비입주자는 해당 사업의 계획서를 제출해야 입주자로 [...]

위클리 펀치(603) 4.3은 전 국민의 눈물이어야 한다.

- 제주에서 보내온 평화의 편지- 어느덧 '4.3 제주민중항쟁'이 발발한지 70년이 지났다. 오래 전부터 각지에서 70주년을 기념하는 많은 행사가 준비되고 있으며, 여기저기에서 학술제나 공연 등이 벌어지고 있다. 제주 사람들은 해마다 이맘때만 4.3을 기억하지 않는다. 일 년 [...]

위클리 펀치(602) ’88만원 세대’ 그리고 10년, 여전히 불안정한 청년세대

실업, 중소기업 지원, 비정규직, 그리고 최저임금, 이 네 가지는 현재 일자리 및 노동시장과 관련해서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들이다. 이 키워드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는데, 취약계층의 노동환경 개선이 목표라는 점과 강력한 정부의 의지 하에 재정적 뒷받침이 상당부분 필요하다는 점이다. [...]

위클리 펀치(601) 1992년, 2000년의 빛이 2018년을 비춘다

요즘 한글이 뛰어난 조형미 덕분에 문자로서가 아니라 시각 디자인용으로 세계 곳곳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런던에서 개최된 패션쇼에서는 한 모델이 들고나온 가방에 ‘긴장하라’는 한글 도안이 새겨져 있었다. 의미와 관계없이 순수하게 디자인용으로 새긴 것이겠지만 묘하게 뇌리를 때린다. [...]

위클리 펀치(600) 프로메테우스의 ‘불씨’와 지혜의 조건

태고에 예지력이 출중한 신이 하나 있었다. 자신이 속한 신족이 패배할 것임을 알고 상대에게 투항한 그는 전쟁 후에 열둘의 주신 바로 아래 지위에 머무를 수 있었다. 그는 인간을 창조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피조물을 무척이나 아끼고 사랑하였다. 인간이 [...]

[새사연x문사연] 연구 크라우드 펀딩: 연구자 지원 발표

독립연구를 위한 ‘연구자-후원자’ 매칭 프로젝트!! ‘연구 크라우드 펀딩’ 연구자 모집과정에 많은 관심 보여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독립연구자네트워크에서 무크지 <궁리>를 기획하다가 시작했습니다.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석·박사 졸업자들, 그리고 대학 밖 학술 공동체 등에서 연구를 하시는 [...]

By |2018-07-02T21:58:45+09:002016/08/19|Categories: 이슈진단|0 댓글

댓글 남기기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