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0929 여성주의] 여성의 주체적 성장 – 나쁜 페미니스트
나는 페미니스트가 되지 않기보다는, 나쁜 페미니스트를 택하겠습니다. 퍼듀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록산 게이는 페미니즘이 더 많은 연대를 이끌어내면서 조화로운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차이를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페미니즘이라는 높은 기준을 세워놓고 그 기준에 못 맞추면 끌어내리려고 한다면 누구도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쉽게 꺼내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학술서와 비평 사이, 비평과 에세이 사이를 경계 없이 넘나드는 『나쁜 페미니스트』는 젠더, 섹슈얼리티, 인종 차별에 [...]
[마감] 새사연 연구자와 함께하는 “공공주택 바로 알고 대처하기” 소모임
모임 배경 정부의 수차례 주거안정 대책에도 전세 값은 급등하고 월세 전환은 가속화되면서 서민들의 주거비부담은 가중되고 있음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면서 정부에서 공급하는 공공주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량이 한정되어 있고, 공공주택은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장기전세주택, 분양전환공공임대, 매입임대, 기존주택전세임대, 장기안심주택 등 종류가 다양하고 전달 체계도 복합하게 구성되어 있음 종류의 다양함과 전달체계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공공주택에 입주를 희망하는 대상자들이 자신의 조건에 맞는 공공주택에 [...]
위클리펀치(526) <가치살기②> 협동조합의 의사결정 : 민주주의는 어렵다.
<가치살기>는 ‘같이 사는 가치 있는 삶’이라는 의미로, 필자가 신정동 청년협동조합형 공공주택 에 살면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을 다룬 일기 같은 칼럼입니다. 칼럼 <가치살기>는 새사연 홈페이지에 월 1회 게재될 예정입니다. (필자 주) 깨달음 1. 다수결과 과반수 “그럼 총회 날짜 24일 25일 둘 중에 가능한 날짜를 손을 들어주시길 바랍니다. 25일이 24일 보다 더 많음으로 다수결에 의해 25일로 선정되었습니다. “ “의사결정과 관련해서는 다수결이 [...]
[후기:0920버니샌더스] 승리의 비법은 ‘정치색 뛰어넘기’
■ 일시: 2016년 9월 20일(화) 저녁 7시~9시 30분 ■ 참여: 8인(회사원,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샌더스 동영상 번역자, 새사연 연구원, 대학생, 회사원, 원더박스 편집자, <<쾌도난마 한국경제>> 저자 등 다분야 생활인) ■ 다음 모임 -일시: 2016년 10월 6일(목) 저녁 7시, 새사연 회의실 -내용: 『버니샌더스의 정치혁명』(원더박스, 2015)의 제5~8장 읽고 발제 및 토론 -진행방식: 1부 7~8시: 장별로 발제, 2부 8~9시: 질문 뽑아서 토론 [...]
[후기: 0922청년정치] 청년정치, 주변에서 중심으로 갈 수 있는 방법?
작성자 : 송민정 새사연 연구원 일시 및 장소 : 2016.09.22.(목) 19시30분, 새사연 회의실 참여자 : 김세진, 김대경, 박종률, 이재모 외 박세길, 송민정 총 6인 다음모임 - 일시 및 장소 : 2016년 10월 21일(금) 19시 15분, 새사연 회의실 - 발표자 및 주제 1) 이재모 : 청년들의 정치무관심 2) 9월 모임에서 향후 소모임을 통해 하고 싶은 내용 공유 못하신 참여자분의 발표 - [...]
위클리펀치(525) 왕자 따위 필요치 않아
올해 초 모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PEACE MY WISH FOR THE GIRL’이라고 적힌 분홍 티셔츠를 입은 참가자를 보고 ‘오랜만에 응원할 만한 사람이 나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잘 알다시피 이 문구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지지하는 메시지이며 티셔츠 판매 수익은 전시성폭력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나비기금의 조성에 쓰인다. 흐뭇한 마음에 이전 경연곡까지 하나하나 찾아서 듣게 되었다. 나만 좋아한 것은 아니어서 준우승까지 차지하는 모습을 볼 수 [...]
[무료초대:확!新!광장] 젠더와 정치
현재 주요 정당 네 곳 중 두 곳에서 여성이 당 대표직을 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에서 여성은 여전히 남성과는 다른 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새사연 10월 확신광장은 ‘젠더와 정치’ 라는 주제로 여성이 정치 속에서 어떻게 다뤄지는가를 정치학자 ‘서복경’ 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정치권에서 여성은 과연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 논의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하오니, 본 행사에 회원님들의 많은 [...]
이슈진단(148) [한국 경제동향①] 주요 특징: 장기불황, 양극화, 낙수효과 소멸
새사연은 회원 여러분의 기고 및 의견 개진을 환영합니다. 원고를 싣고자 하시는 분은 edu@saesayon.org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자 주) 2016년 2분기(4∼6월) 한국경제는 전기비 대비 0.7% 성장하는 데 그쳤다. 1분기의 0.5%보다는 0.2%포인트 상승했지만 작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으로 0%대 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경제의 특성상 전기비 대비 1%는 성장해야 어느 정도 성장을 했다고 인정할 수 있으나, 작년 3분기처럼 금리인하와 대규모 추경을 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