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전망보고서2021-04-14T18:24:21+09:00

[헬조선에서 살아남기2] ‘진짜’ 경제민주화로 ③ 새 담론의 핵심,‘노동권 강화와 소득 인상’

By |2016/12/23|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Tags: , |

경제민주주의로 표현되는 시장소득 분배(1차 소득분배)의 개선만으로는 여전히 부족하다. 소득의 재분배, 즉 복지국가로 표현되는 2차 소득분배에서도 서민들과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대담한 재분배가 필요하다. 당장에 프랑스, 스웨덴 수준의 복지국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지금부터라도 헬조선을 탈출할 수 있는‘거대한 전환’의 꿈과 희망의 국가비전을 제시하며, 향후 수십 년간 이어질 5개년 단위의 계획을 함께 기획하고 토론해보자.   앞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을 통해 계산된 연 [...]

위클리펀치(539) 이 시대의 진정한 정치 9단, ‘시민’

By |2016/12/21|Categories: 새사연 연구, 새사연 칼럼|

촛불시민혁명은 현재진행형이다. 아직도 우리는 그 한복판에 머물러 있다. 그러한 이유로 촛불시민혁명이 어떤 혁명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 단정 짓는 것은 상당한 무리가 따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촛불시민혁명을 일으킨 중요한 정치 지형의 변화 한 가지를 읽어낼 수 있다. 정치평론가들은 종종 정치 거목들을 가리켜 정치 9단이라고 표현한다. 과거 김대중 김영삼 등이 대표 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박근혜를 정치 9단으로 보기도 [...]

이슈진단(154) 2016년 가계부채 특징과 공적 채무조정의 곤란

By |2016/12/19|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Tags: |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재 가계부채는 총 1,295조 원(2016년 3/4분기 기준)에 달한다. 작년 4분기에서 올해 1분기까지 약 20조 원, 올해 1분기에서 2분기까지 약 34조 원, 2분기에서 최근 3분기는 약 38조 원 증가하였다. 판매신용 또한 약 346조 원으로 지난 2분기 보다 약 7조 8천억 원 증가하여, 바로 직전 1분기 약 5조 3천억 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가계부채는 분기마다 거듭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도 [...]

[무료초대:장하준교수 초청강연회] “더불어 함께, 대한민국 경제”

By |2016/12/16|Categories: 새사연 공지|

  장하준교수 초청강연회에 새사연 회원분들을 초대합니다. 2016년 12월 23일(금) 오후 3시 ~ 5시,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대한민국의 대표 경제학자 중 한 명인 장하준 교수의 강연회가 진행됩니다. 새사연의 연구이사인 정승일 박사가 사회를 보며, 새사연은 후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신청은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거나 아래의 URL로 할 수 있으니, 관심있는 회원분들의 많은 신청 및 참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목: 장하준교수 초청강연회 "더불어 함께, 대한민국 경제" 일시: [...]

[헬조선에서 살아남기2] ‘진짜’ 경제민주화로 ②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 두 배, 언제부터?

By |2016/12/16|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Tags: ,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거의 두 배 이상 벌어지며, 근로소득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기업의 불공정한 하도급 거래 척결과 이익공유제와 성과공유제, 그리고 징벌적 손해배상제 등이 진보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이 정책을 통해 전체 중소기업에 돌아가는 경제적 효과는 현실에서는 연 10조원이 안 된다. 지난 5년간 상장회사 대기업 전체 영업이익 총액은 연평균 100~130조 원이며, 이의 3/4는 10대 재벌 대기업의 [...]

[후기&자료] 확!新!광장 Vol.12_2016년, 혁명의 해

By |2016/12/15|Categories: 새사연 활동후기|

  박근혜의 탄핵투표 전 날인 12월 8일 홍대입구역에서는 2016년, 혁명의 해 라는 주제로 새사연 12번째 확신광장이 열렸습니다. 이번 후기는 참가하신 권경록 회원님의 소감과 내용을 정리한 요약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집이 멀어 뒷풀이 참가 못해 아쉬운 귀갓길 올랐습니다. 1:오늘 촛불혁명 시사점과 앞으로의 과제 잘 정리되었습니다 2:미국정치 현재도 잘 엿볼수 있었고요 제생각: 우리 정치권이 외연을 넓혔으면 하는 바램 그 외연이 우리 시민이 포함되야지요; 또 [...]

위클리펀치(538) 막걸리와 삽질: 노동조건은 왜 개선되어야만 하는가?

By |2016/12/14|Categories: 새사연 연구, 새사연 칼럼|

봄 농활에 가서 농사일의 고단함을 느끼며 열댓 명이 함께 하루 종일 모내기를 했는데 절반의 일밖에 끝내지 못했다고 했다. 청년들을 흐뭇하게 바라보며 막걸리 두어 잔을 들이키던 농부 아저씨는 해질녘이 되자 지친 청년들에게 나오라고 하고 이앙기를 몰아 나머지 절반의 일을 순식간에 끝내버렸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적고 그나마 그들은 나이가 많이 들었다. 그렇지만 지금의 농업 종사자들이 힘들고 어려운 결정적인 이유는 고되고 끝이 보이지 [...]

이슈진단(153) 수치에서 내용으로, 사회적가치평가의 방향전환

By |2016/12/13|Categories: 새사연 연구, 이슈진단|

개인이나 단체, 기업 활동의 사회적 유의미성에 대한 평가를 시작한 지는 30여 년이 채 되지 않는다. 사회영향평가를 시작한 이후, 이 평가의 대표적인 분석 방법 중 하나인 사회적 투자수익률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는 사회적 회계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이 지역에 적용되는 이유는 외부의 시선을 고려했을 뿐만 아니라 내부 활동을 개선하고 지속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내부의 의견을 반영하고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