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펀치(608) May Day, ‘근로자의 날’ 혹은 ‘노동자의 날’
132년 전, 인간답게 살 권리에 대한 큰 외침과 움직임이 있었다. 바로 1886년 5월 1일의 미국에서 있었던 파업집회이다. 당시 미국 내에서 만연해 있던 장시간 노동에 대항하여 8시간 노동을 보장받기 위해 시카고의 미시건 거리에서 8만여 명의 노동자와 그의 가족들이 이 집회에 참여 하였다. 노동자들은 사람답게 살 권리를 주창하기 위해 거리로 나섰지만 국가는 발포로 대응하였다. 그럼에도 꺾이지 않았던 이들의 단결투쟁에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
이슈진단(174) 천덕꾸러기 청년임대주택은 어떻게 언론의 지지를 획득했을까
It is not a day or two before the poverty of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in Seoul, is mentioned as a social issue. In other words, when the presidential candidate of Park Geun-hye in 2012, the pledge of representative housing was the supply of "200,000 happy houses" for the residence of young people. Of course, the Park government did not [...]
위클리 펀치(607) ‘담대한 구상’과 ‘통일적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
‘담대한 구상’과 ‘통일적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 - 2018 남북정상회담 성공을 기대하며 한반도 정세가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평창겨울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한․미 특사회담은 4월 남북정상회담, 5, 6월 중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놀라운 소식을 전해왔다. 지난 3월25~28일에는 북․중 정상회담이 전격적으로 열렸다. 나아가 남북․미, 남북․미․중 정상회담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조차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로 세상은 ‘경천동지’하고 있다. 불과 몇 달 전만해도 한반도 상공을 뒤덮었던 [...]
[사회 혁신 길찾기①] 공유와 협력으로 장애와 편견을 뛰어넘다
시민이 만드는 혁신적 사회 변화, 우리는 그것을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릅니다. 시민의 힘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아프게 경험한 우리에게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지금부터 그 쉽지 않은 길을 여러분과 함께 찾아보려 합니다. 2018.4.20 <오마이뉴스>에 실린 글입니다. http://omn.kr/r29v 베르타(Berta)는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도시 베로나(Verona)에 산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속 로미오와 줄리엣이 사랑을 속삭이던 [...]
위클리 펀치(606)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변경과 재건축 논란
공동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변경 정부는 2018년 2월 도시정비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변경하였다. 변경된 안전진단 기준은 구조안전성의 기준을 종전 20%에서 50%로 확대하고 주거환경의 비중을 종전 40%에서 15%로 축소하는 것을 중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정부의 안전진단 기준변경이 발표되면서 시장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우선 무분별한 재건축사업 추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의 낭비를 억제하고 재건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gungli.net 지난 2월, 독립연구를 위한 '연구자-후원자' 프로젝트를 기억하시나요? 연구자 모집 안내가 나간 후에, 폭발적인 관심을 보여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새사연에서는 문화사회연구소(문사연)과 함께 지난 3개월 동안,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를 기획하고 제작했습니다. 최근 대학 안팎에서 젊은 연구자들이 재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독립연구자’의 존재에 물음을 던지고 시작한 프로젝트였습니다. '연구자-후원자' 매칭 프로젝트는 무크지 코너 중 [...]
위클리 펀치(605) 그들은 무얼 믿고 안철수를 따라 갔을까?
잠시 지나가 버린 정치권 이야기를 떠올려 본다. 안철수가 유승민과 손잡고 지금의 바른미래당을 만들 때의 이야기이다. 다수의 호남 지역 의원들은 안철수 행보에 강력 반발했다. 결정적 요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반대하는 유승민과는 결코 손잡을 수 없다는 데 있었다. 그들이 보기에 햇볕정책은 DJ 유지의 핵심이었다. DJ 유지에 대한 거역은 곧 호남 민심에 대한 배반이나 다름없었다. 결국 다수 호남 지역 의원들은 안철수와 결별하고 [...]
[무료초대: 4월 확!新!광장] 한반도 평화회담, 어떻게 볼 것인가?
2018년 4월 확신광장 주제는 '한반도 평화회담'입니다.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연일 뉴스에서 한반도 내 평화회담이 보도되고 있는데요. 이번 확신광장에서는 한반도 정세와 평화회담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볼 것인지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 강연 제목 : 한반도 평화회담, 어떻게 볼 것인가? ■ 강연 : 정영철 교수(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대담 : 정용일 새사연회원(전 민족21 편집장) ■ 일시 : 2018년 4월 20일(금), 오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