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펀치(610) 서로 다른 세대 경험, 서로 다른 시선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번번이 빗나가는 예상으로 인해 전문가들이 적지 않은 곤혹을 치르고 있다. 판문점 회담 이후 남한 내 여론 지형 또한 혁명적 변화를 겪었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판문점 회담 이전 북한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한 이들은 78.3%에 이르렀다. 신뢰한다고 답한 경우는 14.7%에 불과했다. 그러던 것이 판문점 회담 이후 북한을 두고 신뢰 64.7%, 불신, 28.3%로 완전 뒤집어졌다. 변화는 모든 지역과 세대에서 고르게 [...]
[외부기고]따 놓은 당상에 멍드는 지방자치
다가오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어떤 당의 후보만 되면 따 놓은 당상이라는 말이 들린다. 이런 지지도는 그 정당이 잘해서라기보다 상대당의 급격한 몰락과 10여년 만에 멀쩡한 대통령이 국정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제발 좀 잘해달라는 애절한 염원이 지지도로 이어진 것이기에 안타깝기도 하고, 때로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피땀 어린 희생과 노력으로 얻은 권력을 낭비해버리지는 않을지 불안하다. 국정농단이 드러나고, 대통령이 탄핵되니 마니 하는 얘기들이 [...]
위클리 펀치(609) 한 줌의 주민들이 모이고 모여 마을을 이루고 도시를 이루고 사회를 이룬다.
요즘 ‘작은연구 아카데미’라는 일반회원 대상 학습모임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의 활동가들과 텍스트마이닝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공동으로 학습해 보고 있다. 마을공동체의 활성화가 목표이니 마을 현장의 목소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듣기 위한 수단으로 텍스트마이닝에 관한 관심이 높았고, 마을공동체의 공간이라는 측면을 무시할 수 없기에 GIS에 관한 관심도 높았다. 학습모임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기회를 열어준 것에 대해 함께하고 있는 활동가들에게 [...]
[사회혁신 길찾기②] 시민과 공동체가 만들어가는 혁신적 재활용(WASTED & 재활용정거장)
시민이 만드는 혁신적 사회 변화, 우리는 그것을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릅니다. 시민의 힘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아프게 경험한 우리에게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지금부터 그 쉽지 않은 길을 여러분과 함께 찾아보려 합니다. 2018.4.28 <오마이뉴스>에 실린 글입니다. http://omn.kr/r3xx 유럽의 작은 나라 네덜란드는 1950년대부터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자원이 부족했던 탓이다. [...]
위클리 펀치(608) May Day, ‘근로자의 날’ 혹은 ‘노동자의 날’
132년 전, 인간답게 살 권리에 대한 큰 외침과 움직임이 있었다. 바로 1886년 5월 1일의 미국에서 있었던 파업집회이다. 당시 미국 내에서 만연해 있던 장시간 노동에 대항하여 8시간 노동을 보장받기 위해 시카고의 미시건 거리에서 8만여 명의 노동자와 그의 가족들이 이 집회에 참여 하였다. 노동자들은 사람답게 살 권리를 주창하기 위해 거리로 나섰지만 국가는 발포로 대응하였다. 그럼에도 꺾이지 않았던 이들의 단결투쟁에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
이슈진단(174) 천덕꾸러기 청년임대주택은 어떻게 언론의 지지를 획득했을까
It is not a day or two before the poverty of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in Seoul, is mentioned as a social issue. In other words, when the presidential candidate of Park Geun-hye in 2012, the pledge of representative housing was the supply of "200,000 happy houses" for the residence of young people. Of course, the Park government did not [...]
위클리 펀치(607) ‘담대한 구상’과 ‘통일적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
‘담대한 구상’과 ‘통일적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 - 2018 남북정상회담 성공을 기대하며 한반도 정세가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평창겨울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한․미 특사회담은 4월 남북정상회담, 5, 6월 중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놀라운 소식을 전해왔다. 지난 3월25~28일에는 북․중 정상회담이 전격적으로 열렸다. 나아가 남북․미, 남북․미․중 정상회담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조차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로 세상은 ‘경천동지’하고 있다. 불과 몇 달 전만해도 한반도 상공을 뒤덮었던 [...]
[사회 혁신 길찾기①] 공유와 협력으로 장애와 편견을 뛰어넘다
시민이 만드는 혁신적 사회 변화, 우리는 그것을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릅니다. 시민의 힘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아프게 경험한 우리에게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지금부터 그 쉽지 않은 길을 여러분과 함께 찾아보려 합니다. 2018.4.20 <오마이뉴스>에 실린 글입니다. http://omn.kr/r29v 베르타(Berta)는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도시 베로나(Verona)에 산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속 로미오와 줄리엣이 사랑을 속삭이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