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혁신 길찾기①] 공유와 협력으로 장애와 편견을 뛰어넘다

By |2018/04/23|Categories: 현장브리핑|Tags: , , , |0 Comments

시민이 만드는 혁신적 사회 변화, 우리는 그것을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릅니다. 시민의 힘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아프게 경험한 우리에게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지금부터 그 쉽지 않은 길을 여러분과 함께 찾아보려 합니다. 2018.4.20 <오마이뉴스>에 실린 글입니다. http://omn.kr/r29v 베르타(Berta)는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도시 베로나(Verona)에 산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속 로미오와 줄리엣이 사랑을 속삭이던 곳이기도 하다. 그녀는 장애가 있어 오십이 다 되도록 변변한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 카를라(Carla)는 수년간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다 가까스로 벗어났지만 아들과 함께 살 집을 구하지 못해 벌써 몇 달째 떨어져 살고 있다. 정부가 주는 아주 적은 수당으론 이들이 더 나은 내일을 꿈꾸기가 쉽지 않다. 이들의 손을 잡아 준 것은 이웃들이었다. 같은 도시에 살던 안나(Anna)와 그의 친구들. 그들은 2012년 윤리적인 패션 기업을 [...]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By |2018/04/10|Categories: 새사연 연구, 현장브리핑|Tags: |0 Comments

[새사연x문사연]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 gungli.net     지난 2월, 독립연구를 위한 '연구자-후원자' 프로젝트를 기억하시나요? 연구자 모집 안내가 나간 후에, 폭발적인 관심을 보여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새사연에서는 문화사회연구소(문사연)과 함께 지난 3개월 동안, 독립연구자를 위한 무크지 <궁리>를 기획하고 제작했습니다.  최근 대학 안팎에서 젊은 연구자들이 재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독립연구자’의 존재에 물음을 던지고 시작한 프로젝트였습니다.    '연구자-후원자' 매칭 프로젝트는 무크지 코너 중 하나였습니다. "너는 마음 편히 연구 해라. 돈은 우리가 모아볼게"라는 호기로, 안정적인 독립연구 생태계를 마련하고 실험하기 위한 움직임이었습니다. 척박한 환경에도 서로 지지하며, 새로운 삶을 모색해나가는 것이 새사연의 가치이자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궁리는 살 궁리, 먹을 궁리, 연구할 궁리 등 독립연구자들의 생존 방식을 고민하는 와중에 만들어진 이름입니다. 그동안 연구용역, 연구활동가, 작가, 지식 노동자 등 다양한 이름으로 존재했던 사람들이 스스로 ‘독립연구자’로 호명하면서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고, [...]

[후기:0920버니샌더스] 승리의 비법은 ‘정치색 뛰어넘기’

By |2016/09/27|Categories: 현장브리핑|[후기:0920버니샌더스] 승리의 비법은 ‘정치색 뛰어넘기’ 댓글 닫힘

  ■ 일시: 2016년 9월 20일(화) 저녁 7시~9시 30분 ■ 참여: 8인(회사원,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샌더스 동영상 번역자, 새사연 연구원, 대학생, 회사원, 원더박스 편집자, <<쾌도난마 한국경제>> 저자 등 다분야 생활인) ■ 다음 모임 -일시: 2016년 10월 6일(목) 저녁 7시, 새사연 회의실 -내용: 『버니샌더스의 정치혁명』(원더박스, 2015)의 제5~8장 읽고 발제 및 토론 -진행방식: 1부 7~8시: 장별로 발제, 2부 8~9시: 질문 뽑아서 토론 및 논의   ■ 차기 계획 -10월 말 정도에 샌더스를 지지하는 한국 내 교포 혹은 미국인 2인을 초청해 강연 듣고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갖자는 제안이 논의 -현재 소모임 맴버들과 추가적인 참여를 염두에 두고 토의 준비를 할 계획 * ‘버니샌더스 좋아요’ 모임은 항상 열려있고 새로운 분들을 환영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새사연 미디어 edu@saesayon.org 로 문의를 주시거나, 예정된 모임 시간과 장소로 오시면 됩니다.   [...]

[후기: 0817청년정치] 어서와, 청년정치는 처음이지?

By |2016/08/22|Categories: 현장브리핑|0 Comments

일시 및 장소 : 2016.08.17.(수) 19시, 새사연 회의실 참여자 : 총 9인 다음모임 - 일시 및 장소 : 2016년 9월 22일(목) 19시, 새사연 회의실 - 내용 1) 소모임 이름 정하기 2) 모임원 각자가 본 소모임에서 함께 하고 싶은 내용을 미리 문서작업하여 공유한 후 짧은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앞으로의 청년정치소모임의 세부방향 설정 - 모임주기 : 월 1회 (3째주 수요일) ※ 박세길 선생님의 일정에 따라 9월 10월만 다른 날에 하기로 함) 모임의 목표 - 청년이 주도(주체)가 된 새로운 정치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모임의 목적임 - 이 외에도 청년의 정치 관심도를 높이고 직접 참여하도록 인도하고자 함 - 후에 “청년 정치 Academy“와 같은 형태의 강연에 개인이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역량을 본 모임을 통해 이루고자 함 모임원들이 제안한 모임의 방향 - 정치 전문가 및 [...]

[후기: 0818버니샌더스] ‘자본주의를 구하라 – 로버트라이시’ 후기

By |2016/08/22|Categories: 현장브리핑|0 Comments

■ 일시: 2016년 8월 18일(목) 저녁7시 ■ 참여인: 12인(청년쉐어하우스, 온라인 정치 플랫폼 개발자, 샌더스 동영상 번역자, <<쾌도난마 한국경제>> 저자, 지인 소개, 새사연 연구원, 원더박스 편집자, 사회민주주의센터 대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대학생, 정치 관심인 등 다분야 생활인) ■ 다음 모임 -일시: 2016년 9월 1일 저녁 7시, 새사연 회의실 -내용: 모두를 위한 불평등(다큐) 보고와 이야기나누기 https://youtu.be/uGrJ_G20lBI -모임주기: 당분간 2주 1회, 목요일 저녁 7시 ■ 앞으로 하고 싶은 작업들 토론: 미국의 무브온(moveon.org)과 같은 진보적인 온라인 정치플랫폼을 만들어 실험 영어공부: 진보적인 정치경제 영어 기사나 글을 읽고 토론 통해 영어 향상. 버니 샌더스를 지지하는 국내 거주자와 미팅 초대: 버니 샌더스 한국 초청 번역: 버니 샌더스, 로버트 라이시 등 동영상 한글자막 공동 작업 ■ 전체 감상 -로버트 라이시가 쓴 책들 중에 비교적 어려운 책인 것 같다. [...]

한빛청소년대안센터 방문기

By |2014/07/28|Categories: 현장브리핑|0 Comments

새사연은 '생활인을 위한 연구'라는 모토의 실현을 위해 일상과 사회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보고서, '새일상'으로 회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새일상'은 '일상 새롭게 들여다 보기'의 줄임말로서, 생활 속에서 지나치기 쉬운 것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보다 일상적인 언어로 풀어내고자 하였습니다. '새일상'은 새사연의 기존 보고서들과는 다르게 홈페이지에 전문 게재됩니다.(편집자 주) 지난 7월 16일, 손끝이 떨리는 긴장과 설렘을 느끼며 한빛청소년대안센터의 문을 두드렸다. 대한민국 청소년 교육의 문제점 조사를 위해 준비된 탐방이었지만 사실 내 설렘은 같은 대안교육 판 위에 있는 입장으로서 이곳의 학생들과 서로의 입장과 생각을 이해, 공유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렇게 처음 만난 한빛청소년대안센터는 따뜻하고 친절한 공간이었다.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웃으며 날 맞아주었고 인터뷰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줘서 편하게 조사를 마칠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그들의 따뜻함에 다시금 감사를 전하고 싶다. 한빛청소년대안센터는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교육시설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