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진학률 19년 만에 처음 하락’

통계청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지난해 고등학생의 대학진학률이 전년보다 1.9%포인트 낮아지자 각 언론의 대대적인 보도가 뒤따랐다. 어떤 이는 학벌사회에 균열이 생긴 징표라며 호들갑을 떨었고, 어떤 이는 대학 구조조정의 결과 대학 정원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모든 보도의 결론은 ‘전문가들도 진학률 하락에 대한 이유에 대해 뾰족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와 같이 대학졸업장으로 평생 소득이 좌우되는 학벌사회에서 대학진학률은 매우 민감한 소재다. 해마다 진학률은 전년도 기록을 갱신하며 상승세를 유지했고 이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대학에 가는 사회가 됐다.

한편으로는 대학 수도 늘어 입학정원이 몇 년 후면 고교 졸업생 수보다 많아지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입시경쟁은 치열하기만 하다. 하지만 이는 알고보면 전문대나 지방대가 아닌 서울의 4년제 대학을 가기 위한 경쟁이다.

대학진학률은 인문계와 전문계 고교 전체의 졸업생 숫자와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 입학생 수의 비율이다. 따라서 지난해 진학률이 하락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인문계고와 전문계고 각각의 졸업생들의 대학진학률과, 일반대와 전문대, 산업대 등 대학별 입학자의 추이를 분석해야 한다.

또한 고교 졸업생이 아닌 재수생, 사회인 등의 대학 진학률 역시 중요한 변수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바로 대학에 들어가는 학생 수가 줄었더라도 재수, 삼수를 각오하더라도 서울의 4년제 대학을 가려는 학생이 늘었다면 진학률 하락은 ‘사회적 의미’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 글은 2009년의 대학진학률 하락을 세 가지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화라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첫째, 대학 구조조정에 따른 대학의 선발 정원의 감소는 일반대가 아닌 전문대의 입학정원의 감소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대에 진학하려는 입시경쟁은 줄어들지 않았다.

둘째, 저출산 추세로 인해 고교 졸업생 규모가 줄어든 것은 2000년대 초반이었으며, 중반 이후에는 정체돼 있었으므로 2009년의 진학률 하락 이유가 될 수 없다. 게다가 졸업생 수가 감소하던 시기에도 대학진학자 수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셋째, 대입제도의 변화로…

[관련글]

_사교육 양극화 뚜렷

 

[새사연 회원의 날] 3월 27일(토, 낮3시) 초대합니다.
[회원의 날 오시는 길] 새사연 사무실 인근 카페(헬무트나휘, 서교동)

[미소금융 현황과 발전적 방향]
친서민 정책 미소금융이 제 이름값 하려면

미소금융은 자활 의지와 능력은 있으나 담보나 신용이 부족해서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자금을 빌려주는 무담보소액대출사업이다. 하지만 시행 몇 달 동안 이 취지를 제대로 못 살리고 있다는 평가다. 어떤 점이 보완되어야 할까?

[손석춘의 길]
봉은사의 길, 안상수의 길

[김병권의 한국사회의 창]
삼성이 내는 세금은 적당한 것인가

"새사연 3기 개방형 이사회는 올바른 방향"
[우리는 댓글 토론중] 새로운 이사회 구성을 허락해주시기 바랍니다


구르마_새사연 이사회의 구성과 역할에 대한 어떤 기준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내용도…

창수_학교자율화조치가 무엇인지 아는 분을 이사로 뽑았으면 합니다. 덧붙여서 학교 교실인원문제에 대해서도 지속… [더 많은 의견보기]

[2010 새사연 연구 계획안_더 많은 의견보기]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61-28 삭녕빌딩 2층  l  Tel.322-4692  l  Fax.322-4693
전자우편 :
media@saesayon.org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