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명성황후는 우리손으로 목을 쳤어야만 했다.

By llk931215|2009-09-20T20:33:01+09:002009.09.20.|

글 공유하기

FacebookTwitterTumblr이메일

1 댓글

  1. unwise 2009년 10월 15일 11:32 오후- 답글쓰기

    프랑스 혁명의 원인 중 하나는 종교적인 이유라고 들었습니다. 혁명당시 이는 200년전의 복수다(이단으로 죽은 종교지도자의 복수)라고 일제히 외쳤다는 기억도 있고요
    지금와서 민주주의의 하나의 상징으로 보여지기도 하지만, 제대로 살펴보면…살육과 탐욕, 폭력의 모습들이 그 주류일 뿐입니다. 그 민중들이 가장 즐겨보았던 것 중에 하나가 이단들의 화형식이었다는 것을 보면 더더욱 그렇죠.

    명성황후에 대해서는 어느부분은 동의하고, 어느부분의 동의하지 않습니다. 특히나 고종의 부분에 대해서는 더 그렇죠. 근래에 밝혀진 사료에 따르면 고종등은 입헌군주제를 추진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임시정부당시 그에 정통성을 부여한 사람도 다름아닌 고종이었습니다. 자칫하면 공화제(왕권을 부정하는)와 입헌군주제(왕실을 인정)사이의 분열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고종은 차후의 모든 왕실의 권리를 포기하였습니다. 이로써 독립운동 세력의 분열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의 문제는 고종이나 명성황후의 문제가 아니라…외세의 속셈을 제대로 파악못하고 순진하게 외국문물을 무조건 받아들이려한 개화세력에게 더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일본의 인사로부터 신문물을 배우고, 이러한 내용은 일본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선을 개방하는 것이었죠. 지금으로 치면, 미국등에서 교육을 받은 경제저격수 역할을 그들이 한것입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답글 취소하기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카테고리

태그

#궁리 가계부채 경제민주화 경제정책 공공임대주택 공동체 금융 노동 노동시장 노인복지 도시재생 독립연구자 리빙랩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만들기 메인뉴스 미디어 보건의료 보육 복지 부동산 부동산정책 불평등 비핵화 빅데이터 사회적경제 사회주택 사회혁신 소득주도성장 언론 여성 일자리 정책실험 주택 주택협동조합 청년 청년주거 출산율 텍스트마이닝 토지임대부 퇴사 평화체제 혁명사 협동조합

이 연구자의 다른 글

  • 용산참사로 돌아가신 분들을 고이 보내드릴수 없는 이유
    2010년 01월 08일
  • 경찰의 행태에 분괴한다!!
    2009년 12월 19일
  • MB당선 2주년 뭐가 변했나…
    2009년 12월 19일
  • 조선일보의 명구라
    2009년 11월 07일
  • 조선일보”대기업이 언론을 부수적으로 운영해서도 안된다는 점이다”라고 했다.
    2009년 11월 03일

최근 연구 및 칼럼

  •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

    2021년 02월 24일
  •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2021년 02월 22일
  •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2021년 01월 28일
  •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2021년 01월 18일
  •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년 12월 29일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33, 3층 | Phone: (02) 322-4692 | Fax: (02) 322-4693
Copyrigh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