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과 이건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권력자다. 누가 더 권력이 센가를 묻기란 이미 철없는 짓이다. 아직도 이명박의 권력이 세다고 혹시 생각한다면, 2011년 현재 누가 권력을 한껏 누리고 있는가를 톺아볼 일이다.

보라. 삼성전자 회장 이건희의 권세는 하늘 높은 줄 모른다. 그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의를 취재하는 기자들 앞에서 이명박 정부를 겨냥해 서슴없이 ‘낙제’라는 말을 들먹였다. 물론, 이건희는 경제 정책을 낙제라고 명토박지는 않았다. 짐짓 노회하게 “흡족하다기 보다는 낙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어떤가. ‘낙제’라고 한 말보다 더 비위 상할 성싶다.

실제로 그의 말이 전해지자 청와대는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하지만 ‘시원한 소리’는 없었다. ‘총대’를 멘 것은 청와대가 아니었다. 나흘 뒤 기획재정부 장관 윤증현이 국회 질의응답 과정에서 이건희의 발언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건희 발언에 장관 “수정하겠다” 꼬리말

신문과 방송은 윤증현의 비판을 간단히 보도하거나 모르쇠 했다. 비교적 길게 보도한 한 신문은 윤 장관이 “강하게 비판했다”고 기사화 했다. 하지만 정작 보도 내용을 짚어보면 그렇지도 않다. 윤 장관은 “당혹스럽고 실망스럽기까지 하다”고 말했을 뿐이다. “전대미문의 경제위기 극복에 정부 역할이 상당했다는 건 국내뿐 아니라 외국 석학과 언론, 국제기구도 인정하는 사실”이라는 장관의 말에선 어딘가 ‘아랫사람’의 억울함마저 느껴진다.




그렇게 판단하는 근거는 더 있다. 이건희에게 정부 정책 중 어떤 면이 겨우 낙제점을 면할 정도인지 묻고 싶다는 발언까진 강경하다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 하지만 곧이어 “지적하면 수정 하겠다”고 말했다. 얼핏 자신감 넘치는 발언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장관이 굳이 ‘지적’이나 ‘수정’이라는 말까지 쓸 필요가 있었을까? 전형적인 아랫사람의 화법이다. .

대한민국이 ‘이건희의 세상’임을 스스로 감지하고 있어서일까. 정부의 경제정책에 낙제점만 거론한 게 아니다.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정운찬이 제기한 초과이익공유제를 살천스레 비판했다. “기업가 집안에서 자라나 경제학 공부를 해 왔으나 듣도 보도 못한 말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원색적 발언에 이어 “사회주의·공산주의·자본주의 어떤 국가에서 쓰는 말이지 모르겠다”며 빨간 색깔까치 칠하고 나섰다. 이건희가 삼성의 황제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황제가 아닌가 싶을 정도다. 그의 발언이 전해지자 ‘재계’에선 “시원하다”거나 “할 말을 제대로 했다”고 반겼다.

물론, 서울대총장과 국무총리를 역임한 경제학 교수 정운찬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그는 이익공유제를 제안하게 된 가장 직접적 계기가 바로 삼성이라고 말했다. 색깔론이나 이념 잣대로 매도하는 언행에 발끈한 심기가 묻어난다. 하지만 그 또한 “자신이 공부한 책에서 본 적이 없다고 해서 그 의미를 평가절하 하시는 것”은 온당한 태도가 아니라며 사뭇 ‘예의범절’을 지켰다.







[관련글]

참척 양산하는 휴먼삼성

 













[광고] 학생인권조례 주민발의에 함께 해주세요!





[공지] 인터넷 그날이 오면을 이용해주세요~












이제 원자력 발전의 전환을 이슈화하자. 일본 동북부의 참사가 방사능 공포로 이어지면서 원전의 ‘안전신화’가 산산이 깨지고 있으나 우리의 관심은 ‘안전 그 이상’에 있어야 함을 감히 주장한다. 원자력의 공포로부터 진정 자유로워지기 위해서, 그리고 평화롭고 정의로운 체제 전환을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다시 일어서고 있다.





_ 중앙집중식 전력 체제의 전환을 위해

_ 에너지 인플레이션과 ‘거품-붕괴’ 동학

_ 동북아시아 에너지 협력인가, 분쟁인가?












[손석춘의 길]
박근혜가 이명박과 다르다? 소가 웃을 일

대통령 후보로 유력한 박근혜가 다시 화려하게 나섰다. 이명박 대통령과의 차별성을 한껏 과시했다. 2011년 3월31일 대구를 방문한 자리였다. 이명박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정태인 칼럼]
진흙탕 속의 연꽃?

1986년 7월 영국 정부는 노동자의 임금 체계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제안(green paper)을 발표했다. 하나는 임금과 이윤을 연계하는 것, 즉 이익공유(profit sharing)이고 또 하나는 보수 일부를 주식으로 지급하는 것(종업원지주제)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04-3 펠릭스빌딩 3층  l  Tel.322-4692  l  Fax.322-4693  l 전자우편 : rletter@saesayon.org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