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의 어느 여름 밤, 마포 신수동에 있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에서는 ‘여성주의 소모임’ 시즌2 첫 모임이 열렸다.

지난 3월 처음 진행했을 때에 비해 여성주의가 더욱 더 예민하고 주목 받는 주제가 되어 있어 주최하는 입장에서는 많은 부담감이 동반되었다. 이 시점에서 내가 시즌2를 여는 것이 어떻게 회원들에게 보여질까? 全 회원들에게 내가 생각하는 여성주의가 제대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 괜히 잔잔한 새사연을 이슈의 한 가운데 빠트리는 건 아닌가? 회원이 줄어 들면 어쩌지? (정의당 탈당 사태에 놀란 홍보담당자의 솔직헌 심정) 등등의 마음이 들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내가 모임을 열 수 있었던 것은 사실 토닥과 함께한 시즌1의 활동에서 여성주의에 대한 확고한 나의 정의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하는 여성주의는 ‘남성과 여성이 평등해 지는 것, 그리하여 남성과 여성 모두 성별과 ‘성별’다워지는 것(ish) 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즉, 여성주의 운동은 사실 단순 여성해방운동이 아니라, 모든 인류의 성별 해방운동이 되는 것이다.

feminism definition

그리고 맙소사, 새사연이 이슈파이팅을 두려워하다니…… 그래서 우리는 모였다.

첫 모임은 2030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직업은 구직자, 대학생, 연구원 등으로 다양했다. 첫 모임답게 간단한 자기 소개, 모임의 취지, 나아갈 방향, 참가 동기에 대해서 나눴는데 소모임 참가 계기도 단순 관심부터 학습의 욕구, 군 가산점이나 데이트 비용 등 삶 속에서 만날 수 있는 젠더 문제의 직면 등 다양했다.

간단한 자기 소개를 마친 뒤 YouTube를 통해 여성주의에 대한 개념을 보고 서로 논의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 동영상에 주목했는데 OECD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대사회에서 여성주의자들이 말하는 성별 불평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동영상이었다. 사실 동영상은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는 심각한 오류를 전제로 진행되었기에 사실 동영상 내의 주장은 타당하지 않아 보였다. 송민정 참가자는 해당 데이터는 자신이 석사 논문에 사용한 데이터와 동일함을 밝히며 자신은 그 데이터를 가지고 여성노동 불평등을 주장하였다고 말했다. 하나의 데이터가 화자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전달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경우였다. 안타깝게도 우리의 논의에서 문제가 있다고 결론 내려진 동영상의 조회수는 92만뷰였다.

성폭력이 더 이상 큰 이슈가 되지 않는 사회와 여성이 데이트를 할 때 동반되는 잠재적 폭력의 가능성을 비판하는 동영상을 거쳐 마지막으로 본 동영상은 Katie Goodman의 Sorry Babe, You’re a Feminist (미안하지만 넌 여성주의자다) 였다. Katie는 ‘레즈비언’ ‘남성을 혐오하는 사람’ 등으로 대표되는 여성주의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상의 정의를 풍자하며, 오늘 날 여성이 능력을 펼칠 수 있고 투표 및 운전을 할 수 있으며 아내 이상의 존재임을 누릴 수 있는 모든 것이 과거 여성주의 운동의 결과물임을 밝혔다. 또 여성주의자란 남자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교를 간다는 이유로 매맞는 소녀, 남성보다 2배 더 빈곤 속에 사는 여성들 등의 현실이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모든 이들이라고 노래한다.

사실 여성주의는 유별난 것이 아니다. 여성주의자도 유별난 사람들이 아니다. 우리가 그간 교육 속에서 배워 온 인간적인 삶, 균등한 기회제공, 생활 속에서의 안전 등 상식적으로 당연한 것을 성별에 상관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이들이 여성주의자인 것이다. 진짜 여성주의 가짜 여성주의가 어디 있겠는가? 미국 코메디언 Aziz Ansari 의 말처럼 ‘양성이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걸 믿는다면’ 당신은 여성주의자인 것이다.

다음 모임은 2주 뒤 목요일인 8월 25일에 진행될 예정으로 시즌2의 첫 도서는 ‘이갈리아의 딸들’ 이다. 본 도서를 읽고 인상적인 부분을 발췌한 후, 그 부분에 대한 동의/비동의, 현대 사회와의 비교 등을 자유롭게 준비해 와 논의할 예정이다.

여성주의 소모임의 문은 항상 열려있다. 참여를 원하신다면 02-322-4692 / edu@saesayon.org 로 언제든지 연락 주시길 바란다. 자유로운 여성주의자의 참여를 기다리겠다.

새사연 ‘여성주의 소모임’ 신청하기

 

5.18에 돌아보는 광주형 일자리의 의미

광주 5.18묘역 참배객들의 분주한 발길이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일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1980년 5월 그 순간으로부터 39년의 세월이 흘렀다. 내년이면 4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40년! 결코 짧지 않은 세월이다. 5.18에 의해 인생행로가 결정되었던 세대들은 아직도 5.18을 엊그제 [...]

도시재생 지역 내 사회주택 공급 공부 모임

- 도시재생 지역에서의 주민이 참여하는 부담가능한 주택 공급, 이 정도는 알고 시작하자! 신청자 모집이 끝나 조기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관심 가져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 보완해서 2기 공부모임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살고 [...]

왜 어떤 도시는 다른 도시들보다 더 혁신적인가

- 윌코 프로젝트 최종 보고서 「도시의 맥락으로 본 사회 혁신」 소개 윤찬영 현장연구센터장 | 손호석 객원 연구원 클릭하면 전체 보고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윌코(WILCO) 프로젝트는... 윌코(WILCO, Welfare Innovations at the Local level in favour [...]

역사상 가장 희귀한 세대

얼마 전까지 청와대에 근무했던 단 한 사람의 비행(?)으로 특정 세대가 다시금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1990년대 이들은 386세대로 불리기 시작했다. 당시 30대로서 1980년대 대학을 다닌 1960년대 생이라는 의미였다. 이후 나이를 먹으면서 486세대, 586세대로 명칭이 바뀌었다. 통칭 [...]

노동계가 풀어야 할 숙제 세 가지

무언가 잔뜩 꼬여 있는 느낌이다. 기대했던 역할을 속 시원하게 소화하지 못한 채 엉거주춤 제 자리를 맴돌고 있는 모습이다. 새정부 출범에 맞추어 이름과 틀 모두를 바꾸어 새 출발을 한 경사노위를 두고 하는 말이다. 공교롭게도 이 모든 [...]

[새책] 줄리엣과 도시 광부는 어떻게 마을과 사회를 바꿀까?

새사연 현장 연구의 첫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첫 주제는 '사회 혁신'입니다.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민, 기업, 단체, 자원봉사자, 정부와 행정기구들, 과학기술과 플랫폼들의 다각도의 노력이 '사회 혁신'이라는 흐름으로 모아지고 있다. 평범한 시민들이나 자그마한 단체 또는 [...]

[사회혁신 길찾기] 리터러티,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는 플랫폼

지금부터 10년쯤 지나면 바다를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무려 두 배로 늘어날 것이란 끔찍한 소식이 들린다. 지난 24일 영국 과학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린 연구로, 다시 그 두 배로 늘어나는 데는 30년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2060년이면 [...]

[사회혁신 길찾기] 시민참여 플랫폼, 디사이드 마드리드의 새로운 도전

스페인, 프랑스, 브라질, 아이슬란드의 시민 참여 플랫폼들 대의민주주의의 부족함을 메우려는 시도 가운데 ‘시민 참여 플랫폼’을 꼽을 수 있다. 아이슬란드의 ‘더 나은 레이캬비크(betrireykjavik.is)’나 브라질의 ‘이 데모크라시아(edemocracia.camara.leg.br)’가 비교적 일찍 문을 연 플랫폼들이다. 이 데모크라시아는 프랑스의 ‘시민과 의회(parlement-et-citoyens.fr)’와 [...]

기업 경영자는 반드시 보수적이어야 하는가?

최근 홍남기 부총리의 행보가 언론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 예로 진보 성향 모 언론 매체의 기사 제목은 “홍남기호 50일, ‘청와대 바지사장’ 예상 뒤집고 거침없는 우클릭”이었다. 문재인 정부의 시정 방침인 소득주도 성장론에 맞서 역주행을 시도하고 있다는 [...]

By |2018-07-02T21:58:45+09:002016/08/19|Categories: 이슈진단|0 댓글

댓글 남기기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