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사연x바틀비]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출간 기념 이벤트 [마감]
새사연과 도서출판 바틀비가 새사연 회원 대상으로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출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정모 관장의 과학 자신감 살리기 프로젝트!!! 유쾌한 과학자 이정모 관장이 서울시립과학관을 제대로 즐기는 법을 안내합니다. 과학관장과 함께 플라스틱 원반을 날리고, 원소 블록을 돌려 과학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을 선물해주세요~ · 장소: 서울시립과학관(서울시 노원구 한글 비석로160) · 일시: 1) 2018년 2월 6일(화) 오후 2시 2) 2018년 2월 24일(토) 오후 2시 [...]
[새사연x바틀비] 출간 기념 이벤트 [마감]
새사연과 도서출판 바틀비가 새사연 회원 대상으로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출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정모 관장의 과학 자신감 살리기 프로젝트!!! 유쾌한 과학자 이정모 관장이 서울시립과학관을 제대로 즐기는 법을 안내합니다. 과학관장과 함께 플라스틱 원반을 날리고, 원소 블록을 돌려 과학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을 선물해주세요~ · 장소: 서울시립과학관(서울시 노원구 한글 비석로160) · 일시: 1) 2018년 2월 6일(화) 오후 2시 2) 2018년 2월 24일(토) 오후 2시 [...]
위클리 펀치(592) 적은 누구인가?
1987년. 눈앞의 적은 분명했다. 1961년 5월 16일 헌정을 파괴하고 수십 년간 독재를 일삼고 있는 군사독재정권을 타도하는 것이 분명한 목표였고, 달성했다. 얼마 전 1987년 1월부터 6월까지의 긴박했던 순간을 담은 <1987>이 개봉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영화)‘1987’은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냐?’는 질문의 답”이라며 감회 깊은 관람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 연말 연구원의 종무식을 겸하여 <1987>을 단체관람한 후 극장을 나서는데 복잡하고 무거운 마음이 들었다. 박종철, 이한열, [...]
2017년 새사연 결산보고서
지난 해, 새사연을 아껴주시고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2017년, 새사연 결산보고서를 아래와 같이 보고합니다. 새사연에서는 새해 현장중심 연구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회원님들과 함께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결산 보고서는 하단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insert_php] if ( ! function_exists( 'report' ) ) require_once('/home/saesayon/script/report/report.php');report( 'https://saesayon.org/wp-content/uploads/2018/01/2017년-결산보고서.pdf');[/insert_php]
이슈진단(172) 2018년 문재인 정부, 보건의료 정책 방향과 평가
들어가기 한국에서 중요한 보건의료 정책은 거의 대통령 선거를 통해 준비되고 당선 후 실행된다. 그러므로 보건의료 분야의 2018년 전망은 대통령 선거 전후를 통해 만들어진 관련 정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정치적 의미를 덧붙여서 분석하고자 한다. 2017년 5월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시작 전 몇 달 동안 가질 수 있었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당선 후 곧바로 국정 운영을 시작하였다. 대신 3개월 [...]
위클리 펀치(591) 지나간 30년 다가오는 30년
1994년 당시 IBM 임원진은 인터넷이라는 것이 있는지조차 몰랐다. 얼마 후 인터넷을 접하기는 했으나 그걸 갖고 돈을 벌 수 있다는 생각을 조금도 하지 않았다. 1996년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빌 게이츠는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인터넷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것 같은 이야기를 했다. 그는 여전히 네트워크보다는 독립적 PC에 무게 중심으로 두고 있었다. 스탠포드 대학원생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자신들이 발명한 인터넷 검색엔진 특허권을 사줄 사람들을 [...]
위클리 펀치(590) 청년정책, 보상 아닌 기반조성으로
지난 몇 년간 노동, 주거, 부채 등 다양한 영역의 청년정책을 보며 이들이 청년들의 삶의 기반을 조성하기보다 성과를 보상하는 데 집중되어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취업지원정책인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는 구직활동을 단계별로 나눠 각 단계를 이수할 경우에만 수당을 지급한다. 대표적인 주거지원정책인 행복주택의 경우, 현재는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초기에는 취업한 자와 결혼한 자만 입주신청이 가능했다. 청년들의 부채문제에서 시작한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최근 1년간 6개월 [...]
위클리 펀치(589) 비트코인, 언제까지 승승장구 할까?
비트코인 열풍이 채 가시지 않은 가운데, 정부 당국은 강력한 규제 도입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미 지난 11일 금융위원회 출입기자 송년회에서 비트코인은 정상적인 금융거래로 볼 수 없으며, 투기라고 못 박았다. 강력한 규제 도입을 금융위원장이 직접 시사하고 있다는 면에서 전자 가상 화폐로 인한 문제가 사전에 차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종구 위원장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사는 것은 추후에 다른 사람이 더 후한 값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