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동물복지’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습니다… 돼지와 닭의 사육환경은 정말 충격적이더군요… 제 한몸 제대로 뉘이기도 힘든 좁고 더러운 환경 속에서 동물들은 점점 미쳐가고… 우리는 미친 동물의 고기를 먹고 있는 건지도 모릅니다… 유럽에서는 쾌적한 환경에서 동물을 기르려는 농가들이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다고 하더군요… 이를 위해 조금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하는 소비자들도 있구요… 물론 출발점도 다르고(동물복지) 거대축산기업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신선한 시도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유럽은 동물복지가 축산규제의 하나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잘키운 동물이 아니면 인간에게 독이 된다는 거죠..그래서 로컬푸드나 양심적 소비운동이 있는데요, 생산지를 아는 양심적 소비는 전체 시장의 0.06%에 불과하다는 군요.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거 같습니다. 개인의 음식섭취방식에 까지 영향을 미쳐 저소득국가일수록 갑작스런 당류, 단백질 섭취증가로 비만관련 질병이 심해지고 있으니까요…자본주의의 극복은 삶의 형태를 바꾸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가치판단을 떠나서 모든 문제의 탓을 너무 신자유주의 하나로 몰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스스로의 의문을 던진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분석한 내용을 보면 이 역시 수긍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네요. 억지로 부정해보려고 해도 그러할 수 없는 분석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퍼갈께요~)
아바나님, 저도 그런 고민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인류가 문명을 만들는 과정이 자연을 정복해온 과정인데 현재의 모습을 모두 신자유주의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오래된 논쟁이죠. 환경운동하시는 분들은 문명자체를 반성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시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이 도입된 이후, 1980년대 들어 신자유주의적 생산방식이 도입된 이후와 그 이전은 명백히 다른 것 같습니다. 인류의 문명행태에서 생태계파괴적인 행위와 인간의 존속을 위한 행위를 구별할 수 있을지가 인류 문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반성없이 끝없는 번영을 약속하며 내달리는 것이 신자유주의라고 생각합니다.
신종 전염병 창궐의 근본 원인을 자본의 속성과 세계화한 생산-무역 방식에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지혜로운 접근이자 훌륭한 분석입니다. 그러나 공장식 축산업의 확산을 신자유주의 탓으로 환원시키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식품(축산물 포함)의 공장식 대량 생산은 고소비 지향 사회 일반이 안고 있는 문제일 것입니다. 1980년대 이후 세계화의 영향으로 식품과 육류의 판매처가 더 늘어나고 메이저 다국적 식품회사들의 생산 원가 절감 경쟁이 더 치열해진 것은 틀림없으나 이는 그 이전 단계로부터 연속적인 변화 과정이지 신자유주의 단계에서 특별히 만들어진 조건은 아니라고 봅니다.
신자유주의가 저가 식품을 공급하고 그에 바탕한 저임금 구조를 한 축으로 삼는다는 것 역시도 자본주의 일반의 방식이지 신자유주의에 고유한 것은 아닙니다. 한국이 60-70년대 경제개발에 나설 때도 농촌의 저곡가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공장 노동자의 저임금 구조와 농촌에서 도시로의 지속적 이탈을 부추겼습니다. 신자유주의 이전에도 미국은 공장식 축산과 가공이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으며, 유명한 gm자동차의 포드시스템조차 시카고 도축공장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모티브로 했을 정도입니다.
신자유주의도 자본주의의 한 하위 범주(국면? 단계? 전략?)이므로 공장식 축산업이 야기하는 문제들은 곧 자본주의의 문제이며 이는 자연히 신자유주의와 무관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신자유주의의 문제라고 환원시키는 것은 곤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5공 청문회에서 전두환이 ’80년대의 모든 불행은 전적으로 본인의 탓’이라고 했습니다.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 불행했던 일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는 바는 하나도 없습니다. 인권 유린은 인권을 회복하는 것으로, 탄압에 대해서는 보상으로, 잘못된 법률은 고치는 방식으로 각각 그에 맞는 처방이 되어야 문제 해결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사실 그런 고민이 있습니다. 과연 신자유주의를 무엇으로 규정하느냐, 하는 문제와 연관되는데요 모든걸 신자유주의 때문이라고 하는 주장에는 자본주의 전반을 반대하기 어려운 분위기 속에서 만만한 신자유주의로 모든 비판을 모아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제가 주목하는 것은 80년대 이후 농축산품 생산방식의 변화가 기존 자본주의적 공정와 같은 수준인가? 하는 점입니다. 가장 다르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생산과 소비의 세계화, 거대 공장화, 일국 차원의 자급자족 시스템의 붕괴 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그 안에는 자본주의적 속성이 연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죠.. 문제는 다시 자본주의 일반과 신자유주의와의 공통점과 변별점은 무엇인가? 하는 것으로 돌아가고 제가 보기엔 신자유주의가 자본주의의 한 형태로 뭔가 구별되는 지점이 있는 것처럼 농축산물의 생산과정역시 1980년 이후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더 많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속적 관심부탁드립니다.^^
얼마 전에 ‘동물복지’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습니다… 돼지와 닭의 사육환경은 정말 충격적이더군요… 제 한몸 제대로 뉘이기도 힘든 좁고 더러운 환경 속에서 동물들은 점점 미쳐가고… 우리는 미친 동물의 고기를 먹고 있는 건지도 모릅니다… 유럽에서는 쾌적한 환경에서 동물을 기르려는 농가들이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다고 하더군요… 이를 위해 조금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하는 소비자들도 있구요… 물론 출발점도 다르고(동물복지) 거대축산기업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신선한 시도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잡식동물의 딜레마에서 처럼 자꾸 인간들은 동일종,좁은공간, 육류의 공장화, 옥수수의 세계적인 지배를 강화해 나가고 있네요.
개체의 다양화, 친자연적인…. 좀더 지역순환사회가 되어야 할거 같네요. 잘 읽었습니다.
유럽은 동물복지가 축산규제의 하나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잘키운 동물이 아니면 인간에게 독이 된다는 거죠..그래서 로컬푸드나 양심적 소비운동이 있는데요, 생산지를 아는 양심적 소비는 전체 시장의 0.06%에 불과하다는 군요.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거 같습니다. 개인의 음식섭취방식에 까지 영향을 미쳐 저소득국가일수록 갑작스런 당류, 단백질 섭취증가로 비만관련 질병이 심해지고 있으니까요…자본주의의 극복은 삶의 형태를 바꾸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가치판단을 떠나서 모든 문제의 탓을 너무 신자유주의 하나로 몰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스스로의 의문을 던진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분석한 내용을 보면 이 역시 수긍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네요. 억지로 부정해보려고 해도 그러할 수 없는 분석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퍼갈께요~)
참으로 오랫만에 로그인해서 좋은 글 읽고 갑니다.
거대한 권력이라는 욕망과 맞서 싸우는 길. 그 탄탄하고 완벽한 전략을 부탁합니다.
아바나님, 저도 그런 고민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인류가 문명을 만들는 과정이 자연을 정복해온 과정인데 현재의 모습을 모두 신자유주의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오래된 논쟁이죠. 환경운동하시는 분들은 문명자체를 반성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시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이 도입된 이후, 1980년대 들어 신자유주의적 생산방식이 도입된 이후와 그 이전은 명백히 다른 것 같습니다. 인류의 문명행태에서 생태계파괴적인 행위와 인간의 존속을 위한 행위를 구별할 수 있을지가 인류 문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반성없이 끝없는 번영을 약속하며 내달리는 것이 신자유주의라고 생각합니다.
신종 전염병 창궐의 근본 원인을 자본의 속성과 세계화한 생산-무역 방식에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지혜로운 접근이자 훌륭한 분석입니다.
그러나 공장식 축산업의 확산을 신자유주의 탓으로 환원시키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식품(축산물 포함)의 공장식 대량 생산은 고소비 지향 사회 일반이 안고 있는 문제일 것입니다. 1980년대 이후 세계화의 영향으로 식품과 육류의 판매처가 더 늘어나고 메이저 다국적 식품회사들의 생산 원가 절감 경쟁이 더 치열해진 것은 틀림없으나 이는 그 이전 단계로부터 연속적인 변화 과정이지 신자유주의 단계에서 특별히 만들어진 조건은 아니라고 봅니다.
신자유주의가 저가 식품을 공급하고 그에 바탕한 저임금 구조를 한 축으로 삼는다는 것 역시도 자본주의 일반의 방식이지 신자유주의에 고유한 것은 아닙니다.
한국이 60-70년대 경제개발에 나설 때도 농촌의 저곡가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공장 노동자의 저임금 구조와 농촌에서 도시로의 지속적 이탈을 부추겼습니다.
신자유주의 이전에도 미국은 공장식 축산과 가공이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으며, 유명한 gm자동차의 포드시스템조차 시카고 도축공장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모티브로 했을 정도입니다.
신자유주의도 자본주의의 한 하위 범주(국면? 단계? 전략?)이므로 공장식 축산업이 야기하는 문제들은 곧 자본주의의 문제이며 이는 자연히 신자유주의와 무관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신자유주의의 문제라고 환원시키는 것은 곤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5공 청문회에서 전두환이 ’80년대의 모든 불행은 전적으로 본인의 탓’이라고 했습니다.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 불행했던 일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는 바는 하나도 없습니다. 인권 유린은 인권을 회복하는 것으로, 탄압에 대해서는 보상으로, 잘못된 법률은 고치는 방식으로 각각 그에 맞는 처방이 되어야 문제 해결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사실 그런 고민이 있습니다. 과연 신자유주의를 무엇으로 규정하느냐, 하는 문제와 연관되는데요 모든걸 신자유주의 때문이라고 하는 주장에는 자본주의 전반을 반대하기 어려운 분위기 속에서 만만한 신자유주의로 모든 비판을 모아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제가 주목하는 것은 80년대 이후 농축산품 생산방식의 변화가 기존 자본주의적 공정와 같은 수준인가? 하는 점입니다. 가장 다르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생산과 소비의 세계화, 거대 공장화, 일국 차원의 자급자족 시스템의 붕괴 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그 안에는 자본주의적 속성이 연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죠..
문제는 다시 자본주의 일반과 신자유주의와의 공통점과 변별점은 무엇인가? 하는 것으로 돌아가고 제가 보기엔 신자유주의가 자본주의의 한 형태로 뭔가 구별되는 지점이 있는 것처럼 농축산물의 생산과정역시 1980년 이후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더 많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속적 관심부탁드립니다.^^
이은경님, 훌륭한 분석 글에 굳이 딴지를 건 이유는,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고 해체하기 위해서도 좀더 전략과 전술을 구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입니다.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비판이 여기저기서 이루어지니, 대중도 신자유주의가 좋지 않다는 것은 이제 분명히 인식합니다. 그러나 이도 저도 다 신자유주의라 하면 결국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거나 어쩔 수 없는 대세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새사연은 신자유주의 대안을 모색하는 대표 연구소인 만큼, 어떤 것을 신자유주의 경제의 특질로 규정하는지 명확히 하고, 이에 근거해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전술과 그 이후 대안 전략을 좀더 정밀하게 구분했으면 합니다.
거대 자본기업의 ‘농식품복합 카르텔’로 설명하는건 어떨까요… 그나마 아직 쌀이 버티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농식품 체계도 거의 같은 구조 속에 있는 만큼…
이러한 카르텔 구조 속의 산업농이 가진 파괴적인 속성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알려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사회에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세계가 왜 그 카르텔 구조를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