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보건지소를 늘리는 문제로 새사연 회원들 간 공방이 오갔는데요. 공공의료기관을 무조건 늘리는 게 능사는 아니군요. 재정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는 동네 병원과 지역 의료기관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역할 분담이 이뤄지면 더없이 좋겠어요. ‘따로 또 함께’ 이런 슬로건으로 공공의료와 민간의료 연계한 지역 보건사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좋은 사례도 소개해주세요.
도시형 보건지소 설립에 대해 문제 제기하는 것은 다소 욕 들을 생각을 하고 하는 겁니다. 네가 의사니까 결국 편드는 것 아니냐는 편견으로 바라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진보적 보건의료에 대해서 생각하는 분들도 문제는 있습니다. 정말 그분들이 동네병원도 살리고 지역 보건도 해결하고자 한다면 둘 다 살리는 방향으로도 고민을 해봐야 합니다. 의사들이 협조를 안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소 편협된 사고에서가 아닐까 합니다. 의협에서도 지역 보건 문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서 영유아 진료 등 몇몇 진료 내용에서 동네병원이나 보건소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방법 등 나름대로 의견을 내놨는데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더군요
가끔가다 소위 ‘진보적’인 사람들은 대책이 없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보육에서 공공보육시설 확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공공보육시설이 확대되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민간보육시설의 운영비와 인건비도 책임지라고 요구하니까요. 그러면서도 민간보육시설의 준 공영화는 반대하구요. 바우처제도도 비슷한 듯 합니다. 소위 ‘진보적’이라는 영역에서는 아마도 바우처도 반대하는 사람이 많을 듯 합니다. ‘보수적’으로 현재의 제도를 유지한 채 국가 재원만 늘리기를 바라는 듯 해요.
지역 보건사업이, 더 근본적인 제도개선과 연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리나라 1차 보건의료 체계가 기반조차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은 다 아시는 사실이고 적극적인 가구담당의제도 도입을 통해, 체계적으로 국민보건을 관리하고 무엇보다도, 현재의 치료중심의 의료제도, 행위별 수가에 기반한 의료시스템을 예방의료에 기반하여 전면적으로 혁신할 필요가 있다고 보구요.
거시적 차원의 개혁과 미시적 차원의 변화가 서로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공공의료기관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시형 보건지소 건설은 환영입니다. 보건소,보건지소와 동네의원간의 문제의 본질은 똑같이 진료를 하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기 때문입니다. 도시형 보건지소를 늘이데, 그 역할을 진료가 아닌 건강증진사업등 보건사업을 중심으로 하면 됩니다. 실제로 광주에 있는 한 도시형보건지소는 아예 외래 진료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 역시도 보건소의 역할을 진료가 아닌 보건사업을 중심으로 할려고 고민 중이며, 이런 보건사업은 동네의원의 협력이 많이 필요한 사업입니다.
사랑그루님 말씀이 맞습니다. 문제는 현 일반진료를 하는 보건소로도 동네병원들은 불만이 많은데 보건지소까지 동네마다 퍼지면 동네병원들은 불안할 겁니다. 지금 도시형보건지소의 계획을 보면 위애ㅔ 적은데로 생활습관병(만성질환), 저소득층, 재활, 영유아 보건 등 지역에서 필요한 내용들로 계획이 되어 있지만 현 보건소 운영을 보면서 의사들은 불안해 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것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해주고, 또 지역의 보건사업들도 동네병원과 연계해서 하도록 사업방향을 구체적으로 잡으면 훌륭한 내용이 될 텐데 말입니다. 보건지소만 세우는 것만으로는 지역 보건 사업 활성화 불가능하거든요.
보건소/보건지소를 늘리는 문제로 새사연 회원들 간 공방이 오갔는데요. 공공의료기관을 무조건 늘리는 게 능사는 아니군요. 재정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는 동네 병원과 지역 의료기관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역할 분담이 이뤄지면 더없이 좋겠어요. ‘따로 또 함께’ 이런 슬로건으로 공공의료와 민간의료 연계한 지역 보건사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좋은 사례도 소개해주세요.
도시형 보건지소 설립에 대해 문제 제기하는 것은 다소 욕 들을 생각을 하고 하는 겁니다. 네가 의사니까 결국 편드는 것 아니냐는 편견으로 바라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진보적 보건의료에 대해서 생각하는 분들도 문제는 있습니다. 정말 그분들이 동네병원도 살리고 지역 보건도 해결하고자 한다면 둘 다 살리는 방향으로도 고민을 해봐야 합니다. 의사들이 협조를 안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소 편협된 사고에서가 아닐까 합니다. 의협에서도 지역 보건 문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서 영유아 진료 등 몇몇 진료 내용에서 동네병원이나 보건소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방법 등 나름대로 의견을 내놨는데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더군요
가끔가다 소위 ‘진보적’인 사람들은 대책이 없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보육에서 공공보육시설 확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공공보육시설이 확대되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민간보육시설의 운영비와 인건비도 책임지라고 요구하니까요. 그러면서도 민간보육시설의 준 공영화는 반대하구요. 바우처제도도 비슷한 듯 합니다. 소위 ‘진보적’이라는 영역에서는 아마도 바우처도 반대하는 사람이 많을 듯 합니다. ‘보수적’으로 현재의 제도를 유지한 채 국가 재원만 늘리기를 바라는 듯 해요.
지역 보건사업이, 더 근본적인 제도개선과 연계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리나라 1차 보건의료 체계가 기반조차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은 다 아시는 사실이고
적극적인 가구담당의제도 도입을 통해, 체계적으로 국민보건을 관리하고
무엇보다도, 현재의 치료중심의 의료제도, 행위별 수가에 기반한 의료시스템을
예방의료에 기반하여 전면적으로 혁신할 필요가 있다고 보구요.
거시적 차원의 개혁과 미시적 차원의 변화가 서로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보건소에서 무료로 진료하는 것을 같은 내용으로 병원을 방문하면 똑같이 무료로 보조하는 것이 어려울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것이 보건소를 짓고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일반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것 어느것이 더 효율적인지에 대한 생각이 문득 듭니다.
공공의료기관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시형 보건지소 건설은 환영입니다.
보건소,보건지소와 동네의원간의 문제의 본질은 똑같이 진료를 하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기 때문입니다.
도시형 보건지소를 늘이데, 그 역할을 진료가 아닌 건강증진사업등 보건사업을 중심으로 하면 됩니다. 실제로 광주에 있는 한 도시형보건지소는 아예 외래 진료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 역시도 보건소의 역할을 진료가 아닌 보건사업을 중심으로 할려고 고민 중이며, 이런 보건사업은 동네의원의 협력이 많이 필요한 사업입니다.
사랑그루님 말씀이 맞습니다. 문제는 현 일반진료를 하는 보건소로도 동네병원들은 불만이 많은데 보건지소까지 동네마다 퍼지면 동네병원들은 불안할 겁니다. 지금 도시형보건지소의 계획을 보면 위애ㅔ 적은데로 생활습관병(만성질환), 저소득층, 재활, 영유아 보건 등 지역에서 필요한 내용들로 계획이 되어 있지만 현 보건소 운영을 보면서 의사들은 불안해 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것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해주고, 또 지역의 보건사업들도 동네병원과 연계해서 하도록 사업방향을 구체적으로 잡으면 훌륭한 내용이 될 텐데 말입니다. 보건지소만 세우는 것만으로는 지역 보건 사업 활성화 불가능하거든요.
그리고 사랑그루님 말씀 중에 “정부 역시도 보건소의 역할을 진료가 아닌 보건사업을 중심으로 할려고…” 란 부분은 어떤 근거로 하신 건지 알려 주십시오. 왜냐하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은 제가 나름대로 알아봐도 그런 계획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