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임대주택은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집’
1976년 조세희작가가 발표한 단편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를 배경으로 난장이 가족이 겪는 비극적인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고 수능문제로 출제될 정도로 고전이 되었다. 난장이 아버지로 대표되는 도시빈민 다섯 가족은 마지막까지 [...]
크라우드펀딩으로 청년주거빈곤을 해결할 수 있을까
크라우드펀딩 : 자금이 없는 사람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공개하면 익명의 다수로부터 소액의 후원이나 투자를 받는 행위 몇 년 전부터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겠다며 시도되는 크라우드펀딩을 종종 보게 된다. 크라우드펀딩이란 자금이 없는 사람들이 [...]
[퇴사연구_세미나] 퇴사하지 않고는 버틸 수 없는 사회 / 최혜인
* 본 글은 퇴사연구 프로젝트팀 최혜인 연구원이 작성한 퇴사연구 세미나 후기입니다. ‘퇴사’, 이 단어만 봐도 여러 감정이 교차했다. 첫 직장, 첫 퇴사의 기억을 상기하며 그때 느꼈던 한계와 좌절, 조급함과 괜한 원망들이 떠올랐고, 그렇기 때문에 [...]
[사회혁신 길찾기⑨] 핀란드의 정부 혁신, ‘실험의 핀란드’ 프로젝트
시민이 만드는 혁신적 사회 변화, 우리는 그것을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이라고 부릅니다. 시민의 힘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아프게 경험한 우리에게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지금부터 그 [...]
[역사의 과도기, 혼돈의 진보①] 소득주도 성장론, 예정된 실패였나?
지금 우리는 역사의 과도기를 살고 있다. 낡은 질서는 물러가고 있으나 새로운 질서는 자리 잡고 있지 못하다. 과도적 혼돈이 발생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크다. 이럴 때 낡은 관념의 포로가 되어 있으면 패착을 범하기 쉽다. 문재인 정부 [...]
[초대] 퇴사연구 세미나, “비노동사회를 사는 청년, 니트”, 저자 특강 세미나
안녕하세요? 퇴사연구 프로젝트팀입니다. 퇴사연구 프로젝트팀에서는 지난 6~7월 동안, 노동 연구자 및 퇴사자들과 매주 토요일에 만나 '퇴사/노동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마지막 세미나에서는 보다 많은 분들을 만나고 싶다는 바람으로, 신간 <비노동사회를 사는 청년, 니트>의 저자 이충한 선생님을 모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