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대구의 오늘은 슬프다. 옹근 50년 전 대구와 견줄 때면 하릴없이 비애가 몰려온다. 1960년 2월28일. 꼭 반세기 전이다. 대구의 경북고, 대구고, 대구사대부고, 경북여고 학생 2,000명이 당찬 걸음으로 대구 시내로 나섰다. 시청 앞으로 행진했다. 고등학생들은 외쳤다. “학원의 자유를 달라” “일요등교 웬 말이냐.” 당시 이승만 독재정권은 대구에서 열린 야당 후보의 선거유세에 사람이 모이는 걸 막기 위해 고등학생들에게 일요일인 데도 학교에 나오라고 지시했다. 이승만 정권의 서슬이 시퍼렇던 그 시절 10대들은 정면으로 저항하고 나섰다. 한국 민주주의의 신호탄 대구 10대들의 시위 물론, 경찰은 보고만 있지 않았다. 시위에 나선 고등학생 250여명을 줄줄이 연행했다. 부상당한 학생도 속출했다. ‘경북고등학교 학생일동’ 이름으로 이날 발표된 결의문은 들머리에서 곧장 “인류 역사에 이런 강압적이고 횡포한 처사가 있었던가?”라고 물었다. 이어 “오늘은 바야흐로 주위의 공장연기를 날리지 않고, 6일 동안 갖가지 삶에 허덕이다 쌓이고 쌓인 피로를 풀 날이요, 내일의 삶을 위해, 투쟁을 위해 그 정리를 하는 신성한 휴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하루의 휴일마저 빼앗길 운명에 처해있다”고 선언했다. 대구 고등학생들의 거리행진은 전국의 10대 학생들은 물론, 민주 시민들이 독재 권력에 저항하고 나서는 신호탄이었다. 무릇 역사는 단순한 과거가 아니다. 흔히 말하듯이 ‘과거와 현재의 대화’다. 새롭게 전개되는 역사적 현재에서 미처 몰랐던 과거의 ‘씨앗’을 발견할 수 있을 때, 그 말을 실감할 수 있다. 1960년 사월혁명을 10대 학생들이 불 지폈다는 사실은 2008년 촛불항쟁과 견줄 대목이다. 더구나 그 계기가 학생들에게 일요일을 뺏은 이승만 정권의 억압이었다는 사실도 2008년 촛불항쟁과 닮았다. 촛불항쟁의 주된 계기는 광우병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를 전면 수입하는 굴욕적 협상이었지만, 그것을 촉발한 지점은 다른 데 있었다. 2008년 4월에 이명박 정부는 중고등학교에 경쟁과 규율을 더 강화하겠다고 나섰다. 촛불을 들고 나선 고등학생들이 ‘미친 교육’에 항의한 사실도 사월혁명 출발점 때 외친 “일요 등교 웬 말이냐”와 어금지금하다. 대구 10대들과 닮았던 2008년 촛불항쟁의 10대들 그래서다. 1960년 경북고 학생들의 결의문이 촛불을 언급하는 대목은 흥미롭다. 결의문은 “우리 백만 학도는 지금 이 시각에도 타골의 시를 잊지 않고 있다”고 밝힌 뒤 시한 구절을 인용해 다음과 같이 썼다. “그 촛불 다시 한 번 켜지는 날,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사월혁명은 그렇게 여울여울 타오르기 시작했다. 대구 10대 청소년들의 불길을 이어받은 곳은 마산이었다. 새삼 옹근 50년 전을 떠올리는 까닭은, 사월혁명의 출발점이던 그 자랑스러운 역사 앞에 슬픈 까닭은, 오늘의 대구와 너무 대비되어서다. 시민들의 비판의식이 강해 ‘야도’라고 불렸던 대구가 50년이 지난 오늘 민주주의와 가장 거리가 먼 정치세력의 아성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침 경북대 노동일 총장도 2.28 50돌 기념강연에서 ‘민주주의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옳은 말이다. 다만 대구 시민들에게 옷깃을 여미며 정중하게 묻고 싶다. 왜 민주주의의 ‘출발점’이 지금은 민주주의의 ‘역행점’이 되어 있는가를. 그 역설을 어떻게 ‘이해’해야 옳은가를.손석춘 2020gil@hanmail.net* 이 글은 ’손석춘의 새로운 사회’ 오마이뉴스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블로그 바로가기)
10대들의 광우병 촛불은 단지 ‘내가 먹고 싶지 않은거 먹지 않겠다’이고 대구의 시위는 ‘일요등교 하지 않고 쉬겠다’는 것에 방점을 두어야 하지 않을까요? ‘민주주의’라는 대의(?)에 집착하다보면 보통의 사람들에게 정말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놓치게 됩니다. 진보, 민주주의의 가치로는 평범한 사람들을 투표장으로 이끌지 못합니다. 강남의 부자들이 왜 투표장에 줄을 서는지부터 계몽(?)하는 것이 그나마 ‘변화’를 이끌지 않을까 하는 제 좁은 협량입니다. 꾸~벅
대구에 사는 새사연회원입니다. 글을 읽고나니 많은 생각이 드네요.
역사는 나선형을 그리고 발전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진보적인 도시 대구가 현재 보수적인 도시 대구가 된 것이 안타깝지만, 이제 곧 다시 그 이전보다 더 진보적인 도시 대구가 될 수 있도록 젊은 피가 움직인다면 희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거일 부모님을 관광버스에 태워 효도관광보내드리기를 결의하는 작은 실천(?)부터 비맞으며 도로에서 진보정당 후보의 지지를 소리높여 외치며 몸짓을 하는 적극적인 실천까지~! 젊은 피가 움직여 보다 진보적인 희망의 대구로 만들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저도 힘 보태겠습니다. 그럼 글 잘 읽었습니다!
반갑습니다. 저도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기실 대구-영남 시민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 조심스런 시도입니다. 앞으로 더 쓰겠습니다. 그때도 주저없이 의견 주십시오. 물론, 광주-호남도 써야겠지요.
60년의 상황과 지금의 상황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후 달구벌은 소위 무슨 인맥 집단같은 자부심까지 느끼고 살정도로 학벌위주 사회와 군사정권에도 잘 적응한 곳입니다.
그 이후로 거의 1.5세대가 지났습니다. 과거에 진보세력이 지금의 진보세력이라는 법은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강원 일대와 충청 북부의 민심이 그 역전현상을 보이고있기도 하죠.
한편으로는 이것이 이해가 되는 것이 60년대 고등학생들이 지금 대부분 60대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 일부는 그때 그 생각만큼 세상이 변하지 않았다거나, 또는 70년대 유신과 군사정권을 거치면서 좌절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것은 유신정권 이후 박전대표를 생각하는 할머니들의 생각입니다. 문제는 육영수 여사의 후광이 박통을 능가한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