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고 새사연
‘손잡고 새사연’은 새사연 연구원과 회원들을 중심으로 함께 운영되는 소모임으로 새로운사회를 만들고자하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습니다.
주제에 따라 격주 or 월 1회로 운영이 되며, 참여 및 모임 형성에 관심있으신 분은 edu@saesayon.org / 02.322.4692 혹은 다음의 신청하기에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위클리펀치(484) 청년들의 가난, ‘누구 탓’? : 청년, 가난 그리고 복지를 대하는 우리들의 태도
상황1. 약 한 달 전 주민센터 나 : 안녕하세요,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하러 왔는데요, 여기 서류들이요. 상대방 : 준비해 오신 서류 말고도 여기에도 서명을 해주셔야 해요. 나 : 이게 뭐죠? 상대방 : 복지 수급 신청서예요. [...]
이슈진단(133) 2015년 10월 노동시장 분석 : 금융위기 이후 한국 노동시장의 변화
2015년 10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5년 9월 고용률은 60.9%로 전년동월과 동일 -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2.9%로 전년동월과 동일 - 전년동월과 비슷한 수준의 고용지표 유지. 금융위기 이후 [...]
위클리펀치(483) 인턴십? ‘열정 같은 소리하고 있네’
인턴사원 옥유림 커다란 나무 위에 둥지를 꿈꾸던 새 쉬지 않고 날다 지쳐 임시 둥지 틀었다 작은집 휘청거려도 다행이라며 웃는다 임시 둥지 인턴십 [...]
위클리펀치(482) 주관적 역사서, 마을도 인정하는데
정부나 시의 힘을 빌리지 않고 지역 안에서 활동하는 단체와 주민들이 스스로의 고민거리를 하나씩 들고 이야기하는 판이 벌어져 눈길을 끈다. 최근에 마포 지역의 활동과 지역 현안을 터놓고 이야기하는 ‘2015년 마포 로컬리스트 컨퍼런스’가 열렸다.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
[후기] <확!新![확:신]광장:제6탄> “청년문제 또 다른 지표, 청년 니트(NEET)” 후기
바람이 제법 차가웠던 지난 11월 19일, ‘청년 니트족’이란 무엇인지, 청년고용 문제에 해답은 없을지를 논의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비롯하고 많은 분들이 홍대 가톨릭 청년회관에 모여주셨습니다. 새사연에 몸담고 있는 김수현 노동경제 상임연구원으로부터 청년고용문제의 여러 원인들에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건강법
임상 20년 한의사가 달리며 검증한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건강법 예방한의학 전공 박사이자, 임상 경력 20년인 한의사가 100일간의 아침운동에 도전했다. 36인치에 이른 뱃살, 나날이 늘어가는 술과 담배, 뒷산 약수터도 귀찮은 저질 체력, 사소한 일에 불끈하는 [...]
위클리펀치(481) 청년정책의 뉴 패러다임, 서울시 ‘청년수당’과 성남시 ‘청년배당’ 비교
지방정부, 새로운 패러다임의 청년정책 제기 최근 몇몇 지방정부에서 독자적인 청년정책을 수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오랫동안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청년정책은 많은 논의와 검토, 그리고 일부 시행이 이루어진 바 있으나 그 실효성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이 [...]
이슈진단(132) 생활비, 어디부터 줄일까요?
통계청에서 매년 조사하는 「사회조사」는 가족, 보건, 복지, 교육, 사회참여, 노동,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환경, 안전 등 10개 부문을 5개 부문씩 나누어 격년으로 조사하고 있다. 홀수 해에 조사되는 「소득과 소비」 부문에는 이런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
위클리펀치 (480) 사회를 보는 눈, 센서스의 기원
구약성서 민수기 1장에 보면 “이스라엘 자손이 에굽 땅에서 나온 후 둘째 해 둘째 달 첫째 날, 여호와께서 시나이산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모든 이스라엘 자손 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