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사연 소모임2021-04-14T18:23:50+09:00

손잡고 새사연

‘손잡고 새사연’은 새사연 연구원과 회원들을 중심으로 함께 운영되는 소모임으로 새로운사회를 만들고자하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습니다.
주제에 따라 격주 or 월 1회로 운영이 되며, 참여 및 모임 형성에 관심있으신 분은 edu@saesayon.org / 02.322.4692  혹은 다음의 신청하기에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새사연 소모임 ‘손잡고 새사연’ 신청하기

 

이슈진단(154) 2016년 가계부채 특징과 공적 채무조정의 곤란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재 가계부채는 총 1,295조 원(2016년 3/4분기 기준)에 달한다. 작년 4분기에서 올해 1분기까지 약 20조 원, 올해 1분기에서 2분기까지 약 34조 원, 2분기에서 최근 3분기는 약 38조 원 증가하였다. 판매신용 또한 약 346조 원으로 [...]

[무료초대:장하준교수 초청강연회] “더불어 함께, 대한민국 경제”

  장하준교수 초청강연회에 새사연 회원분들을 초대합니다. 2016년 12월 23일(금) 오후 3시 ~ 5시,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대한민국의 대표 경제학자 중 한 명인 장하준 교수의 강연회가 진행됩니다. 새사연의 연구이사인 정승일 박사가 사회를 보며, 새사연은 후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신청은 [...]

[후기&자료] 확!新!광장 Vol.12_2016년, 혁명의 해

  박근혜의 탄핵투표 전 날인 12월 8일 홍대입구역에서는 2016년, 혁명의 해 라는 주제로 새사연 12번째 확신광장이 열렸습니다. 이번 후기는 참가하신 권경록 회원님의 소감과 내용을 정리한 요약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집이 멀어 뒷풀이 참가 못해 아쉬운 귀갓길 올랐습니다. [...]

이슈진단(153) 수치에서 내용으로, 사회적가치평가의 방향전환

개인이나 단체, 기업 활동의 사회적 유의미성에 대한 평가를 시작한 지는 30여 년이 채 되지 않는다. 사회영향평가를 시작한 이후, 이 평가의 대표적인 분석 방법 중 하나인 사회적 투자수익률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는 사회적 회계 방식이 [...]

[헬조선에서 살아남기2] ‘진짜’ 경제민주화로 ① 재벌만이 아니라 시장 자본주의가 문제

경제민주화를 재벌그룹 개혁으로 좁게 생각하는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은 마치 자유시장 또는 공정시장 원칙을 강화하는 구조개혁을 하면 재벌그룹 오너들의 갑질 작태와 족벌 경영이 사라져 한국 사회에 공정한 세상이 열릴 것처럼 말한다. 그러나 재벌그룹이 해체 또는 축소되어 독립적 [...]

위클리펀치(537) 회계의 역사

회계의 시작 : 계약과 재산의 ‘체계적인’ 관리 아주 오래 전 에리두(지금의 이라크 디 카르 지역) 동남쪽 마을에 살던 에아는 수십 마리의 소를 기르고 있었다. 어느 해 여름 심한 홍수로 기르던 소를 모두 잃은 이웃마을 친구 [...]

이슈진단(152) 샌더스의 꿈, 우리의 꿈

거대한 전환의 시대 한국 사회는 빈부격차와 소득격차, 재벌과 대중소기업, 노동조합과 경제민주주의, 복지국가와 빈곤 등의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지난 10월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졌다. 10월 말부터 서울 광화문 거리는 대규모 촛불시위로 뒤덮였다. 11월 12일에는 광화문에서 시청, 종로의 [...]

위클리펀치(536) 혁명의 내일에도 밝혀야할 밤은 온다

다시금 2차 세계대전의 분수령이었던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떠올려 보자. 독일군은 상상 초월의 시가전을 거듭한 끝에 시가지의 80퍼센트를 점령함으로써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소련군의 포위 전략에 말려 일순간에 참혹한 패배를 겪었고, 이는 독일을 2차 세계대전의 패망국으로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