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유장한 시간의 흐름을 툭툭 끊어서 호들갑을 떠는 게 마뜩찮지만 그래도 이런 날이 있어 천성 게으른 사람이 인사를 올릴 수 있는가 봅니다. 임진년, 경제가 어찌 돌아갈지부터 듣고 싶으시겠지요. 매년 그랬지만 이번에도 제 예측이 틀리기를 바랍니다. 6.2% 성장했던 2010년처럼 제가 틀려도 경제가 조금 낫기를 바랍니다. 2012년 경제, 잔뜩 흐림에 폭풍우가 몰아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정부는 3.6% 성장을 예측했지만 이는 세계경제가 3% 중반대의 성장을 한다는 낙관 위에 터잡은 겁니다. 하지만 장기침체에 빠져든 미국, 유로화의 존립 자체가 바람 앞에 등불 신세인 유럽, 예년처럼 활기가 없는 일본 등 이른바 ‘거대 선진 경제권’은 제로 성장에 머물 것이고 작은 충격에도 위기에 빠질 수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구세주의 역할을 한 중국이 이런 상황에서 9%대의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GDP의 35% 가량을 수출에 의존하는 나라, 빈부격차가 극심한 나라, 다만 재정이나 금융 면에서 당과 정부의 신속한 수습이 가능한 나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또 다른 거대 신흥국인 인도는 외채 문제 때문에 훨씬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경제가 그럭저럭 지뢰를 피해 간다 해도 2012년 우리 경제성장율은 2%대에 머물 것이라는 게 제 의견입니다(물론 연구원 내에는 3%대의 성장을 예측하는 분도 있어서 지금 의견을 취합해서 정리하는 중입니다). 부동산 버블과 가계부채라는 시한폭탄은 이제 초침이 째깍거리는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심각한 위기 상황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거지요. 문제는 침체 양상이 금년에 머물지 않을 것이란 사실입니다. 세계는 지금 폴라니의 표현대로 “거대한 전환”을 맞고 있습니다. 금융자유화의 시장만능주의의 몰락, 달러의 위기, 글로벌 불균형, 그리고 유럽의 분열 위기는 한두해에 수습될 일이 아닙니다. 여기에 곧 닥칠 것으로 보이는 에너지/식량 위기까지 더한다면 앞 날이 캄캄할 수 밖에요. 1929년 대공황이 단 한번 일어난 것이 아니라 5번의 크고 작은 위기로 엮여 있었고 결국 세계대전을 거쳐 1945년이 넘어서야, 즉 16년이나 걸려서 정리되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황은 그 때보다 더 나쁜지도 모릅니다. 당시 경제력이나 군사력에서 이미 영국을 압도했던 미국이 실제로 패권 국가가 되는데 16년이나 걸렸는데 중국이 당시 미국의 역할을 하리라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입니다. 작년 아랍에서 시작해서 “월가를 점령하라”까지 터져나온 민중들의 숨가쁜 목소리가 거의 유일한 희망입니다(G20라는 국제공조가 또 하나의 희망인데 작년 이들이 보인 모습은 말 그대로 지리멸렬이었습니다). 어쩌면 전쟁과 같은 대참화를 겪지 않고 세상을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설마 전쟁이 일어나지는 않겠죠ㅠㅠ). 1930년대 우리는 일본의 식민지였고 세계의 대격변 속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는 수동적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다릅니다. 지금 우리나라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 수준이지만, 시민의식으로 본다면, 감히 세계 최고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떠오르는 중국 옆에 있다는 지경학적 위치도 무시할 수 없는 이점입니다. 하지만 중국이 전후의 유럽 복지국가처럼 새로운 사회경제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80년대에 각광을 받았던 일본 모델 역시 노쇠할대로 노쇠했습니다. 저는 아시아 주도의 세계에서 우리가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사회경제적으로나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보편적 복지국가” 나아가서 “지속가능한 보편적 복지의 동아시아공동체”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체제는 남북의 장점을 아우르고 배가하는 것일테지요. 2012년은 그런 “거대한 전환”의 첫 해입니다. 시민이 주도하는 새로운 정치를 열어야 사회경제모델을 그려낼 수 있습니다. 두 번의 선거는 단순히 정권교체가 아닌 “시대교체”를 노려야 합니다. 여기서 실패한다면 우리는 대전환 속에서 또 다시 방향을 잃고 그예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질지도 모릅니다. 새사연은 지난 한 해 많은 발전을 했습니다. 게으르고 무능한 원장과 함께 하면서도 성실하게 제 몫을 다한 연구원들 덕이고, 매달 물질과 정신면에서 아낌없는 후원을 해주신 회원 여러분 덕분에 재정도 안정을 되찾았습니다.큰 의미는 없지만, 한국경제신문이 선정하는 싱크탱크 순위도 2010년 9위에서 5위로 네 계단 올랐습니다. 우리 위에는 국책연구원 둘, 참여연대라는 대형 시민단체의 덕을 톡톡히 보았을 참여사회연구소, 그리고 복지국가 선풍을 일으킨 복지국가소사이어티 뿐입니다. 2012년에는 1위에 오르지 않을까요?^^새사연은 “거대한 전환”에서 우리가 할 일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정권교체가 “시대교체”로 발전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가치와 정책을 제시할 겁니다. 연초에 2012년 전망을 밝히고 곧 이어 “남태령리포트”(가칭)를 발간해서 새로운 사회의 미래상, 구체적인 경로와 정책을 제안할 예정입니다. 우리의 목소리를 명확히 내고 다른 목소리를 모으고 정리해서 2013년에는 “연합정부”가 새로운 체제를 또박 또박 시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런 작업은 회원 여러분, 그리고 일반 시민들과 함께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소통의 통로를 금년보다 열배, 백배 더 넓고 다양하게 열어야겠지요.작년에 이어 또 염치없는 부탁으로 새해 인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참 뻔뻔하기도 하지요? 이명박 정부 마지막 한 해는 민영화와 규제완화를 둘러싼 싸움으로 점철될 겁니다. 한미 FTA가 발효된다면 이런 정책들은 되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비극을 만들어 낼 겁니다. 하여 새사연은 이런 움직임에 대한 감시와 저지에 앞장 설겁니다. 특히 삼성에 대한 비판을 넘어 반대 운동을 조직할 예정입니다. 사람이 부족하고 돈이 모자랍니다. 옆에 있는 촛불시민들에게 회원 가입을 권유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쭉 새사연의 작업을 보셨으니 조금 더 도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온라인 회원들께서는 유료회원으로 전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구체적으로 두 명의 연구원을 더 맞으려고 하는데 300분의 회원이 더 필요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시대교체”를 함께 이뤄냅시다. (고 김근태 선배님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