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사연은 2012년 1월부터 ‘경제를 보는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에 관해 눈여겨 볼만한 관점이나 주장을 담은 해외 기사, 칼럼, 논문 등을 요약 정리하여 소개했습니다. 2013년부터는 ‘2013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 외에 사회 분야까지 확장하여 해외의 좋은 주장과 의견들을 소개합니다.(편집자 주)덴마크 복지는 게으른 사람을 양산하는가? 2013년 4월 21일 뉴욕타임즈에 논쟁적인 기사가 실렸다. 수잔 데일리(Suzanne Daley)가 작성한 “덴마크는 오류투성이의 복지국가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Danes Rethink a Welfare State Ample to a Fault).”라는 제목의 기사는 덴마크 복지가 사람들을 게으르게 만드는 제도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카리나라는 36세 미혼모의 사례를 들어 그녀가 16세부터 복지혜택을 받으면서 월 2,700달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공격한다. 덴마크에서는 이러한 사례가 16개월 전부터 이슈가 되어 근로유인을 위한 복지축소가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덴마크 시스템이 8만 불 이상의 소득이 있는 사람들이 56.5%의 높은 세금을 내는 대신 무상의료, 무상교육 등 부자들까지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어지는 튼튼한 복지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단언한다. 가장 큰 이유로 노동윤리의 소실을 든다. 경제활동인구 73%가 노동에 참여하고 있지만 짧은 노동시간과 유급 육아 휴직, 20달러에 달하는 높은 최저임금 등으로 실제 일하는 시간은 훨씬 적다는 것이다. 여기에 높은 노인인구 비율 증가로 인해 현재의 복지시스템이 지속가능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덴마크 내에서도 스웨덴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관대한 복지 시스템 때문에 불필요한 사람들까지 복지혜택으로 일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복지축소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발된 논쟁-복지와 경제성장이 기사는 논쟁적 토론을 야기했고 많은 전문가들이 토론에 참여했다. 매사추세츠 경제학 교수인 낸시 폴브레(Nancy Folbre)는 “복지여왕 덴마크(The Welfare Queen of Denmark)는 게으르지도 가난하지도 않다”라는 기사에서 레이건 시대의 프로파간다와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레이건은 대선 기간 복지여왕 이야기를 즐겨했다. ‘복지 여왕’이란 수십 개의 가명을 이용해 정부로부터 복지혜택을 받아서 캐딜락을 몰고 다닌다는 한 흑인 여성을 비꼬는 별명으로 복지로 인한 도덕적 해이와 노동의욕 상실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이 여성은 실존 인물이 아니었으며 레이건의 복지축소를 정당화하는 프로파간다에 불과했다. 지금까지 여론을 이용한 정치적 쇼의 대명사로 지적되는 사례이다. 저자는 수잔 데일리의 기사가 같은 시도를 하고 있다고 공격한다. 비도덕적이고 게으른 유색인종 여성이 정직한 사람들의 세금을 도둑질해간다는 이미지를 통해 신자유주의적 복지축소를 추진한 것이다. 이야기는 항상 같다. 복지는 사람의 노동의욕을 저하시키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며 사회의 활력을 저해한다. 하지만 낸시 폴브레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단언한다.캘리포니아 데이비스 대학 경제학과 교수인 피터 린더트(Peter H. Lindert)는 뉴욕타임즈의 기사가 몇 가지 불확실한 통계를 통해 공포감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미국이나 복지지출이 낮은 다른 국가에 비해 25~55세 인구의 노동시간이 많음에도 연령을 고려하지 않은 통계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문제는 근로유인책의 부족이 아니라 고령화에 있다. 오히려 그가 공짜 점심의 수수께끼라고 부르는 현상은 북유럽의 높은 사회지출이 사회의 생산성이나 경제성장에 마이너스가 된다는 증거는 전혀 없이 더 많은 수명, 낮은 빈곤률, 더 투명한 정부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고령화는 세계 모든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며 이는 복지국가 축소가 아닌 시스템의 합리적 조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복지제도로 게을러진다는 것은 이데올로기적 공격을 통해 분노를 조장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꼬집는다.낸시 폴브레는 노동시간 축소는 경기침체로 인한 일자리의 부족이 원인이며, 노동시간이 적다고 덴마크의 경제지표와 삶의 수준이 결코 낮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높은 한계 세율에도 덴마크의 GDP는 미국보다 높으며(미국 4만 8천 달러, 덴마크 5만 9천 8백 달러) 의료비용은 낮고 건강수준은 높다. 아동빈곤은 6.5%로 미국의 23.1%에 비할 바가 아니다. 경제위기의 타격을 동일하게 받았으나 잘 규제된 금융시장은 주택시장의 몰락을 막을 수 있었고 공공부채 역시 미국과 유럽 평균에 비해 낮다. 어떤 증거를 보더라도 덴마크가 경제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보고서 전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insert_php] if ( ! function_exists( ‘report’ ) ) require_once(‘/home/saesayon/script/report/report.php’);report( ” );[/insert_php]
오늘 USA투데이 기사네요. 미국이 2007년 피크때의 순자산수준으로 국부를 회복하는데 5년이 걸렸다는 기사입니다. http://www.usatoday.com/story/money/business/2013/03/07/fed-household-net-worth/1970873/
늘 궁금하지만 복지해서 그 잘난 스웨덴의 국부총액은 얼마나 되고 스웨덴 사람 1인당 국부총액은 미국보다 얼마나 적을지, 오바마가 대통령되어도 미국이 신자유주의 기조를 거의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경제적으로도 이렇게 풍요롭고 그 어느시대보다 잘산다면(케인즈시대 운운하는데 미국인들에게 1950년에 가서 살래? 지금 2013년에 살래 하면 당연히 지금산다고 할겁니다. 50년대 복지가 잘되어있어도요. 영국사람에게도 지금살래 대처 이전의 복지국가로 갈래 하면 지금이 좋다고 하겠죠) 미국식 경제체제가 진리라는 것이 입증되는 것 아닐까요?
현실적으로 미국은 날로 GDP도 늘고 개인재산도 늘어서 3억 미국인들이 배터지게 잘먹고 잘살고, 큰차타고 킨집살고, 복지유럽은 날로 쪼그라들어서 GDP도 쪼그라들고 개인재산도 쪼그라들잖아요. 미국으로는 매년 이민을 못가서 안달이고 왜 스웨덴은 아무도 이민안갈까요? 몸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더 절박한게 있을까요?
world bank 가장 최근 자료인 2011년 자료를 보면, 스웨덴의 1인당 GDP는 57,114달러, 미국은 48,112달러라는군요.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도 미국보다 1인당 GDP가 큽니다. world bank 홈페이지 가시면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미국과 스웨덴 중 한 곳으로 이민갈 수 있다고 한다면 당연히 스웨덴으로 가고 싶습니다만. 올리신 기사를 보면 주식의 상승으로 돈을 번 계층은 상위층이라고 하고 있네요. 중간계층은 집값 상승으로 상위층만큼은 아니지만 부가 회복되었다고 해도, 하위계층의 소득은 어떻게 되었는지 안나오는군요. 빈곤율이 계속 높은 상황인 것을 보면 하위층의 생활은 더욱 힘들어졌을 것 같은데요.
또한 미국의 부동산신규착공건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데, 그렇다면 부동산거품운운한 작자들은 정말 헛소리를 말한 것이 아닐까요? 진보적 경제학자들의 의견은 현실을 단 한개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 말입니다. 왜 정규재가 경제현실을 더 잘 설명할까요?
이민 증가, 경제회복세가 부동산신규착공건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그 수준은 낮은 수준입니다. 이제 100만건 정도로 회복된 것 같은데, 2009년에서 2011년 사이 너무 신규착공건수, 허가건수가 낮았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나온 것이지요. 말그대로 증가세는 기저효과로 봐야겠지요.(미국 통계청에서 신규착공, 허가건수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초만해도 150만건, 금융위기 전에는 200만건이 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신규착공건수 증가가 왜 금융위기의 원인이 자산버블에 있다는 진보적 경제학자들의 말을 헛소리로 만드는지는 모르겠군요. 미국 언론에서도 대부분 자산버블이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왜 정규재가 경제현실을 더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시는지? 그 분이 경제적 분석에 기여한 것이 무엇인가요? 저는 촛불집회 관련된 100분토론에서 본 것이 전부라서요.
무식한놈이 생각하기엔 달러는 한계에 도달?다고 보여집니다
그들이 얼마나 페기처분 할 것 인가 달러에 수주된 모든 자금이 정상적으로 유통되는지 우리는 잘 지켜 봐야 할거 갔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