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들의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1명을 약간 넘는 정도다. 그러나 한국은 회원국 중 유일하게 30명을 초과한다. 학급당 학생 수가 한국보다 0.1명 더 많은 칠레는 비회원국이다. OECD 국가들 사이에서 2000년과 2006년의 평균적인 학급 규모 차이는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학급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과거 ‘콩나물 시루’로 비유되던 거대학급은 사라졌지만 한 반에 학생 수가 평균 36명이 넘는 과밀학급은 여전히 57%를 차지한다(2003년 기준). 특히 지역규모별로 살펴봤을 때 중소도시의 과밀학급 비율이 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과밀학급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아이 한명 한명의 소질과 능력을 발견하고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소통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학력을 자랑하는 핀란드의 경우, 한 반에 평균 20명의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학생 개개인이 소그룹 안에서 교사의 지도를 직접 받도록 한다. 또 각 반에서 스스로 선택해서 모인 5~10명의 아이들에게 뒤처지는 과목을 보충할 수 있도록 개별교육도 실시한다.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다수의 진보교육감은 ‘혁신학교’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러한 혁신학교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남한산초와 같이 새로운 학교 운동에 성공한 학교는 모두 학급 규모가 작다는 사실이다.최민선 humanelife@saesayon.org* 월간 <우리아이들> 9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잘 봤습니다~ 그런데 그래프에 있는 작은 사각형 점들은 무슨 표시인가요? 2001년도 수치인 건가요?
아, 그에 대한 설명이 빠졌네요. 말씀대로 2001년 자료이고 2000년의 평균 학급당 학생수에 대한 수치입니다. ^^
교육 자체는 한 사회의 이데올로기 1차 교육과 체제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시키는 장입니다.
정치와 과연 무관할지는 장담하기 힘들다고 봅니다.
우수한 인재, 창의적인 인간…기타 등등…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아직도 세상은 5지선다와 각종 자격증 남발에 편승해 있는 상황에서 혁신학교가 후에 특수학교로 새로운 권력층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겁니다.
과연 이것이 자금이나 그런거에서 얼마나 자유로울지는 고민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그런 우려점이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산을 타기 위해 혁신학교를 신청하는 교장들도 있고, 그래서 혁신학교를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교사분들도 계시죠.
하지만 교장-교사-학부모-학생-지역이 배움과 돌봄의 공동체를 이루자는 혁신학교 운동이 제대로만 실행된다면 정권이 바뀌거나 사회가 여전할지라도 혁신학교의 근본적인 성격이 바뀌기는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혁신학교를 만들어가는 주체들의 의지 문제니까요.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이므로 제대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 아닐까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