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 앱의 하나인 카카오톡이 이른바 ‘국민 앱’으로 부상하면서 최근 여러모로 화제가 되고 있다. 우선 그 눈부신 성장속도가 놀랍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불과 1년 만에 1천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지금도 매달 170만명이 새로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루에 카카오톡을 통해 주고받는 메시지도 2억3천만건에 이른다고 한다. 30대 경영자가 40여명의 직원들과 이룩한 성과다.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고 앱스토어와 같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형성되면서 크고 작은 벤처기업들이 신규시장에 뛰어들었지만 그 가운데 단연 카카오톡이 돋보인다. 카카오톡이 화제가 된 이유는 또 있다. 국내 주요 통신기업들이 카카오톡으로 인해 발생하는 망 과부하를 문제 삼으면서 서비스를 제한할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루 2억건이 넘는 메시지 송수신 트래픽이 카카오톡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니 네트워크 부하가 커질 것은 당연하다. 여기에 사용자가 공식적으로 발생시키는 트래픽 이외에도 카카오톡 앱과 메시지 서버 사이에 자동으로 주고받는 송수신 트래픽까지 감안하면 부하는 더욱 커진다. 그럼에도 통신사업자는 카카오톡 사용자들로부터 데이터 사용료를 받는 것이 고작이다. 그나마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경우 그조차도 받을 수 없다. 통신사들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와 카카오톡은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통신사들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수익도 급감할 수밖에 없다. 통신사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사용료를 건당 20원으로 산정할 경우 하루 카카오톡 사용건수가 2억3천만건임을 감안하면 매달 1천380억원의 통신사 수입이 증발해 버린다는 단순한 계산이 나온다. 이 숫자는 카카오톡의 예상대로 올해 말까지 카카오톡 사용자가 2천만 명을 넘어서면 두 배로 커지게 될 것이다. 카카오톡이 단지 메시지 서비스와 경쟁관계에 있을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음성통화 서비스와도 대체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그 규모는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억울할 법도 하다. 일각에서는 통신사들이 카카오톡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부과할 것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물론 카카오톡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네트워크 사용료는 이미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보유자가 지불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카카오톡에게 사용료를 부과한다면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인 페이스북·트위터·유튜브에도 마찬가지로 부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또한 타당한 지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KT와 SKT로 대표되는 한국의 이동통신사들은 모두 순이익이 1조원을 넘는 거대기업들이다. 이들은 한국에 스마트폰 시장이 열리기 전인 2009년까지만 해도 통신망에 대한 독과점적 지배력을 바탕으로 모바일 기기 제조사는 물론 모바일 소프트웨어 시장을 일방적으로 통제하면서 고수익 행진을 누려 왔다. 그 결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낮은 납품 단가와 협소한 시장구조로 인해 영세성을 면치 못하게 됐고 사용자들은 통신사들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지극히 제한된 기능 이외에는 모바일 기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시장구조는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이 국내에 시판되면서 무너졌다. 모바일 소프트웨어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고 그와 같은 환경에서 부상한 것이 바로 카카오톡이다. 이제 통신 대기업들은 과거의 일방적 고수익 행진에 대한 향수를 버리고 통신사와 제조사, 그리고 소프트웨어 업체,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국민들과 함께 생존하는 방법을 배워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스마트폰 시대에는 통신사와 제조사, IT 서비스 사업자가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각자의 역할이 있다고 본다”며 모바일 생태계 조성에 일조하겠다는 카카오톡 측의 주장은 이런 측면에서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과 노동자, 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만들고 서로 이익을 공유하려는 적극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다. 얼마 전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의 ‘대기업 초과이익 공유제’ 제안에 대해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모르겠다”며 격한 반발을 쏟아낸 한 대기업 총수를 보면 대기업의 공존과 공유의식이 아직 한참 멀어 보여 우려스럽다. 대기업의 힘의 논리에 유망한 벤처기업이 또다시 희생되지 않기를 바란다.* 이글은 매일노동뉴스 2011년 4월 14일자에 기고한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