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후원/기부금영수증
    • 후원안내
    • 기부금영수증 발급안내
    • 기부금 모금 및 활용실적
  • 공익위반제보
  • 로그인/사용자등록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후원/기부금영수증
    • 후원안내
    • 기부금영수증 발급안내
    • 기부금 모금 및 활용실적
  • 공익위반제보
  • 로그인/사용자등록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후원/기부금영수증
    • 후원안내
    • 기부금영수증 발급안내
    • 기부금 모금 및 활용실적
  • 공익위반제보
  • 로그인/사용자등록

2007 대선 이후, 공동의 대안으로 진보세력의 집권후 전망 제시해야

2007 대선 이후, 공동의 대안으로 진보세력의 집권후 전망 제시해야

관련

By ilssin|2018-07-02T18:46:02+09:002007/12/14|Categories: 이슈진단|3 Comments

3 Comments

  1. suoangel 2007년 12월 14일 12:39 오후- 답글쓰기

    작금의 깝깝한 정치 현실이 왜 이렇게 고착되었는지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글이네요.
    최악회피회과가 아니라 최선선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레임 작업이 정말 중요하군요.

  2. bj971008 2007년 12월 14일 4:38 오후- 답글쓰기

    대선 이후의 상황을 “보수적 헤게모니가 확립된 가운데 이에 대한 비판적 성격의 저항운동이 강화되는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많다고 했는데, 저는 이 생각에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첫째, 진보 운동이 생명력을 보수정치에 뺏기고,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도 결국 저항의 의미에 그쳤기 때문입니다. 주도적으로 정세를 펼칠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전술적인 부분이야 더 고민이 필요하겠지만… 저항, 반대 투쟁은 결국 한계가 분명한 운동방향일 수 밖에 없습니다.
    국민들은 그러한 세력에게 박수를 보내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안과 올바른 방향을 가지고 국민들에게 호소할 때 먹혀들어가죠.

    둘째,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민주주의의 후퇴가 올 거라는 예상입니다.
    보수가 반민주가 아니듯 보수정권이 집권한다고 해도 그들이 민주주의를 파괴할 거라는 착각은 위험합니다. 전선을 잘못 설정할 수 있다는 겁니다.

    결국 손우정 연구원님의 전체 글은 올바른 평가이지만 이후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고 저는 위 두 가지 문제 제기를 합니다.

    아마도 우리에게는 반대나 저항적인 의미가 아닌, 공격적인 사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국민소환권을 필두로 한 국민주권운동과 같은 것들 말이죠.

    공격적이어도 되는게 저들도 취약한 고리가 엄청 많기에 타협점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3. roots96 2007년 12월 14일 5:33 오후- 답글쓰기

    호곡…제가 하려던 주장의 의미는 무화과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저항적 수준의 운동이 계속 될 시 보수적 헤게모니를 극복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고로 첫번째로 지적하신 내용은 저도 전적으로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저항적 수준의 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당사자 운동’이 필요하다는 말도, 대안적 성격의 국민주권운동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저는 국민주권운동을 다양한 여러 당사자들이 하나의 흐름으로 결집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생활속에서 전개되는 각각의 대안적 실천이 국가체제 변화에 기여하는 운동 말이죠. 무화과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부분인데 아닌 듯이 읽히셨다면 저의 글쓰기에 문제가…ㅠㅠ

    두번째 입장은 좀 다릅니다. 전 이명박의 집권은 민주주의의 파괴는 아니더라도 후퇴라고 봅니다. 다만, (이것도 위에서 쓴거 같은데..ㅠㅠ) 민주주의가 위험에 빠진다고 해서 과거와 같은 민주주의 회복 운동으로는 오늘날의 현상유지, 혹은 과거의 반복 이상은 될 수 없다는 것이죠.
    민주주의의 위협에 더 급진적 민주주의로 대응해야지, 수동적인 이명박 반대 수준으로는 안된다고 봅니다 .

    고로 민주주의가 위험에 쳐한다고 해도, 저는 이것이 이명박이나 보수세력에 대한 저항을 넘어 새로운 국가체제를 지향하는 범국민적 운동의 조직화, 대안적 연대로 돌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남기기응답 취소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 1로 33, 3층

Phone: 02-322-4692

Fax: 02-322-4693

Email: edu@saesayon.org

Web: https://saesayon.org

뉴스레터 신청




후원하기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