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답에 가깝단다. 칭찬인지 조롱인지 분간하기 힘든, 묘한 뉘앙스였단다. 통찰력을 지닌 사람은 그 속을 읽었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헛다리를 짚었다고 강조한다.

어느 기자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발언을 두고 쓴 기사 들머리다. 대체 이 회장의 어떤 발언이 기자에게 통찰력 넘실대는 선문답으로 들렸을까? 이 회장이 4월28일 삼성전자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공적 연기금의 의결권 행사에 “별로 신경 안 쓴다”고 답한 말이 그렇단다. 이 회장은 “공개적으로 행사하는 것은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과연 무엇이 선문답이고 통찰력일까? 어느새 한국 언론은 이건희의 발언을 선문답으로 신비화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두루 알다시피 이건희의 발언은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참모인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곽 위원장은 4월26일 공적 연기금의 주주권 행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국민연금의 삼성전자 보유지분은 5%로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지분(3.38%)보다 많다. 그럼에도 이건희 회장이 별로 신경 안 쓴다고 답한 이유는, 더구나 공개적으로 행사하는 것은 환영한다고 밝힌 까닭은 간명하다. 기자 스스로 ‘선문답’을 풀이하고 있듯이 자신감이다.

이건희 회장 자신감과 ‘선문답 언론’

곽 위원장의 발언에 곧장 ‘연금사회주의’로 붉은 색깔을 덧칠하거나 “노무현 정부보다 심하다”는 재계의 요란한 반응에 견주어 이건희 회장의 발언은 분명 다르다. 해볼 테면 해보라는 오만 또는 으름장이다. 회장이 발언할 때마다 ‘해명’에 바쁜 삼성은 이번에도 “시장경제에서 주주가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원칙론을 언급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물론, 선문답으로 여기거나 확대 해석할 이유는 전혀 없다. 있는 그대로 보아도 충분해서다. 삼성 스스로 해명했듯이 시장경제에서 주주가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당연하다. 명토박아 두거니와 이건희 회장도 ‘공개적 행사’는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공은 청와대로 넘어갔다. 국민 세금을 쓰며 미래기획위원장 자리에 앉아 있는 곽승준은 자신의 발언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럴 생각도 의지도 전혀 없으면서 불쑥 공적 연기금을 꺼내든 목적이 대통령의 ‘권위’ 세우기에 있다는 사실을 모를 어리보기는 없다. 한나라당과 재계 사이에 오가는 선문답 아닌 신경전 앞에서 <조선일보> 강천석 주필이 모두 쓸려갈 수 있다며 쓰나미를 ‘경고’하고 나선 이유도 그 연장선에 있다.

‘내년 4월 대지진에 12월 쓰나미인가’ 제하의 강천석칼럼(4월30일자)은 “한나라당과 재계, 넓게 말해 이 땅의 보수세력에 아직 시간은 남아 있다”고 부르댔다. 그날 <조선일보> 사설은 내년 4월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어떤 성적을 거두느냐는 12월 대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며 이명박-박근혜 회동을 통해 “두 사람이 현재 권력의 성공과 미래 권력의 탄생을 위해 또 한 차례 정치적 타협을 이끌어”내라고 촉구했다. 박근혜를 내놓고 ‘미래 권력’으로 표기한 사실이 새삼 흥미롭다.

삼각동맹 2012선거판서 단결할 것

한나라당이 자신의 ‘텃밭’에서 패배한 4·27재보선 뒤 박근혜에 쏠리는 한국 언론을 톺아보면 새삼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는 ‘숨은 동맹’이 투명하게 드러난다. 한나라당 정권과 재벌―조선일보 주필의 표현처럼 ‘재계’라 해도 무방하다―이 아옹다옹 하는 꼴을 개탄하며 ‘화합’과 ‘미래 권력의 탄생’을 주문하는 ‘언론’을 보라. 한나라당·재벌·언론이라는 삼각동맹(한·재·언 동맹)의 검은 실체가 떠오른다.


4·27재보선에서 경제적 고통에 시달리는 민중의 심판을 받았는데도 민생 해결에 나설 섟에 대기업과의 ‘관계 정상화’에 더 급급한 이명박 정권이나 자신의 이익을 전혀 나누지 않으려는 인색한 재벌의 모습은 저들의 동맹자인 언론권력의 눈에도 볼썽사나울 수밖에 없을 터다.

기실 한나라당이 …








[관련글]

삼성과 이건희 망치는 사람들

 













[공지] 인터넷 그날이 오면을 이용해주세요~












신자유주의는 경쟁력을 높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신화를 만들어냈지만 오히려 곳곳에 신음소리만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승자조차 자유로울 수 없는 경쟁의 굴레에 끌려다니기보다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가야 할 때입니다. 무한 경쟁이 아닌 협력과 상생을 통해 더불어 잘 살수 있는 사회를 모색하는 논의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_‘88만원 세대’
_경쟁보다 신뢰와 협력이 문제를 해결
_이익공유제, 대처의 선택과 정운찬의 구상
_행동경제학으로 바라보는 복지논쟁











[이슈아젠다]
소득 둔화, 가계부채 급증…등록금 부담, 어디까지 왔나

지난 9일 MBC <무한도전>을 보다 마음이 뭉클해졌다. 대학가에서 머리띠 판매에 나선 유재석, 박명수가 대학생들의 텅 빈 주머니 사정에 씁쓸해하는 장면과 함께 뜬 자막 때문이다. 그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머리띠를 만원에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오히려 원가도 안 되는 비용으로 물건을 내주는 상황에 처한다. 갈수록 치솟는 등록금과 생활비만으로도 빠듯한 대학생들의 경제 사정이 여과없이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04-3 펠릭스빌딩 3층  l  Tel.322-4692  l  Fax.322-4693  l 전자우편 : rletter@saesayon.org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