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기회를 잡아라, 주민소환을 대선의제로!

By 손우정|2018-07-02T18:46:07+09:002007.11.07.|

글 공유하기

FacebookTwitterTumblr이메일

5 Comments

  1. suoangel 2007년 11월 08일 2:05 오후- 답글쓰기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리플에는 리플, 무플에는 무플!

  2. bj971008 2007년 11월 08일 2:36 오후- 답글쓰기

    크시님, 댓글 달라는 얘기예요, 달지 말라는 얘기예요? 주문이 헷갈린다….

    제 생각은 지자체 의원 월급 올리는 것에 대해 움직이는 것은 하나의 이슈가 될 수 있지만 삼성, 명박비리, 창의 귀환 등의 큰 내용에 휩싸일 것 같아요.

    그리고 그 정도로 바람을 일으킬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어떡하면 좋지요?

  3. roots96 2007년 11월 08일 3:40 오후- 답글쓰기

    국가적 차원의 이슈와 지역적 차원의 이슈는 강도와 참여 등 여러면에서 다르다고 봅니다. 이 둘을 수평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즉, 삼성문제나 신자유주의, 비정규직 문제 등은 국가적 차원의 이슈로 제기해 나가고 지역적 차원에서는 의정비 인상을 매개로 역동적인 활동을 펼쳐보면 좋지 않을까……싶은 생각.

    그리고 주민소환은 실제 추진여부와는 별개로, 추진하겠다는 강한 압박 만으로도 지방의원들의 자진철회를 유도할 수 있을 듯도 싶구요. 물론 실제 추진한다는 의지로 압박해야 압박당할 듯 하지만요.

    지역에서 활동을 고민하는 복수의(다른 지역) 인사들과 의논을 좀 해봤는데, 모두 해볼만 하다는 입장입니다만….문제는 개별 지역만으로는 어렵고 전국적인 분위기를 타야 한다는 것이죠. 주민소환법에 따라 2월 9일 이전에 서명을 끝내지 않으면 총선 전엔 어렵거든요…

  4. gonggam25 2007년 11월 12일 10:41 오전- 답글쓰기

    좋은 제안입니다.
    하지만 지금 국면에서 대선판에 지각변동을 만들기 위한 연결고리가 없어보입니다.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같이 연구해보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뭐든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관망하는 지금을 떠나서 지역이라는 미시적 공간에서 ‘실천’하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5. nkambassad 2007년 11월 14일 12:26 오전- 답글쓰기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생각됩니다.
    어느 동네나 거의 토호들이 지방자치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는 방안으로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현재 전반적인 지역운동의 현황을 고려할 때, 아이디어를 실현할만한 단위가 많지 않을 듯하다는 것입니다.
    샘솟는 아이디어, 또 기대합니다. 건투를!

댓글을 남겨주세요 답글 취소하기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카테고리

태그

#궁리 가계부채 경제민주화 경제정책 공공임대주택 공동체 금융 노동 노동시장 노인복지 도시재생 독립연구자 리빙랩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만들기 메인뉴스 미디어 보건의료 보육 복지 부동산 부동산정책 불평등 비핵화 빅데이터 사회적경제 사회주택 사회혁신 소득주도성장 언론 여성 일자리 정책실험 주택 주택협동조합 청년 청년주거 출산율 텍스트마이닝 토지임대부 퇴사 평화체제 혁명사 협동조합

이 연구자의 다른 글

  • 2016 전망보고서 (3) 정치 : 야당은 왜 존재하는가?
    2016년 01월 18일
  • 음식물 쓰레기 말려 모나리자 그리기
    2008년 09월 08일
  • [춘천물포럼] 수도사업 구조개편 추진방안
    2008년 09월 05일
  • [춘천물포럼] 수도사업의 지역불균형 문제
    2008년 09월 05일
  • 이명박식 해법, 고작 이것뿐입니까?
    2008년 06월 10일

최근 연구 및 칼럼

  •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

    성북구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활동성과에 기반한 마을사회적경제 모델 수립(요약)

    2021년 02월 24일
  •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2021년 02월 22일
  •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2021년 01월 28일
  •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2021년 01월 18일
  •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년 12월 29일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33, 3층 | Phone: (02) 322-4692 | Fax: (02) 322-4693
Copyrigh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