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로고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 새사연
    • 비전
    • 함께하는 사람들
    • contact us
    • 공지사항
  •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 이전 글 모음
      • 전망보고서
      • 다시보는 세계혁명사
      • 불평등지표
    • 실험실
  • 제안/협업
    • 연구제안
    • 프로젝트
  • 커뮤니티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 분실
    • 로그아웃
    • 소식지
    • 회원가입/후원안내

[이슈해설] 마이크로 크레딧, 칭찬만 할 수 없는 이유

By 정희용|2018-07-02T18:46:52+09:002007.08.12.|

글 공유하기

FacebookTwitterTumblr이메일

5 Comments

  1. bj971008 2007년 08월 13일 5:07 오후- 답글쓰기

    좋게만 생각했는데 이런 문제도 있구나….

    결국 가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인 문제이고… (아, 어렵다.)

    그래도 마이크로 크레딧의 좋은 뜻은 계속되는 게 좋겠고….

  2. saranmul 2007년 08월 13일 10:46 오후- 답글쓰기

    은행을 소유하는 자는 그 사회의 모든 부를 소유한다. 은행은 신용창조 행위로 허공에서 돈을 창조하여 , 그걸로 부를 거저 먹을 수 잇다.
    안정적인 일자리보다 은행 소유 개력이 가장 급선무이다 자본은 무엇에서 무엇을 얻지만 은행은 무에서 무언가를 얻는 신과 동일한 자이다
    은행이 산업에게 항상 이기는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다. 은행제도를 개혁하지 못할 바에는 되도록 많은은행을 소유해야 된다.그러지 못하는한 빈자는 영원한 빈자로 남게 되고 중산층은 빈자로 전락하게 된다.돈이 있으면 언제든지 사업도 할 수 있고 일자리도 만든다
    그러나 일자리가 생기는 것을 기자리는 것은 배가 입안으로 덜어지기를 바라는 것과 진배없다.

  3. saranmul 2007년 08월 13일 10:52 오후- 답글쓰기

    현대의 은행제도는 영국에서 민간은행인 영국은행을 중앙은행으로 만들면서 허공에서 돈을 창조한 권한을 준데서 부터 시작한다 . 이러한 돈 창조 행위는 그 돈을 빌려간 자가
    더 많은 경제활동을 하여 이윤을 벌러들일 수 있다는 은행과 차입자의 낙관적 전망에 기초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화석연료의 대량 사용에 근거한다. 석탄이라는 화석연료가 없었다면 산업혁명과 때를 같이한 금융혁명도 일어날 수가 없었을 것이다
    이제 석유가 정점을 지나 하락세로 접어들려고 한다. 은행의 돈 창조 권한을 없애지 못하는 한
    중산층 이하 계층은 사실상 은행의 빚노예로 전학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은행 ! 은행을 시민들이 소유해야만 된다
    은해은 안장서 이윤을 챙기는 , 그래서 “높으신 금융 High Fiance”이라는 별명이 붙는다.
    은행을 소유하자

  4. etkfka 2007년 08월 14일 12:02 오전- 답글쓰기

    겉보기에 그럴듯한 마이크로크레딧이 갖고 있는 명암입니다. 금융자본이 마이크로크레딧을 손대는 것만이 아니라 빈곤층들은 마이크로크레딧에서 빌린돈으로 창업해서 더 이상 축적을 통한 진전을 바라볼 수 없는 쳇바퀴 구조에 편입됩니다. 조금만 수익을 내면 그들은 그 돈을 갚는데 우선적으로 사용하면서 벗어날 수 없는 노예가 됩니다. 또 소액대출로 창업하는 사람들은 악착같이 일하기 때문에 상환율은 대단히 높고 부도율도 낮습니다. 소액대출의 규모는 딱 그 수준입니다. 그들은 대부분 가내 수공업이나 하청일, 기업의 물건을 팔아주는 노점상 등을 하죠. 일자리 없는 빈곤층의 노동력을 하나도 남김없이 활용해서 실속을 보는 사람들은 따로 있죠. 결국 소액 대출은 빈곤의 진정한 대안이 못 된다는 겁니다.
    마이크로크레딧의 원조는 그라민은행의 유누스가 아니라 우리 농협이 더 원조가 아닌가 싶네요. 우리나라에서 농협이 지금처럼 거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그동안 정부돈 공짜로 얻어다 상환율 높고 부도율 없는 소농들에게 담보와 연대보증 통해 대출해줘서 번 돈도 큰 몫 했지요. [2007-08-13] [2007-08-13] [2007-08-13]

  5. aha-east 2007년 08월 14일 2:14 오전- 답글쓰기

    땅의사람님 글을 읽다가 아하! 그렇군 하고 무릎을 치게 됩니다. 가난한 이들에게 돈을 대주고 당장 농사는 짓게 되지만 평생 빚만 쌓여가는 구조. 바로 우리 농협이 그랬죠. 농민들은 다 빚더미에 올랐는데 농협은 거대 금융기관이 되구요…

댓글을 남겨주세요 답글 취소하기

연구

  • 이슈진단
  • 현장브리핑
  • 칼럼

카테고리

태그

#궁리 가계부채 경제민주화 경제정책 공공임대주택 공동체 금융 노동 노동시장 노인복지 도시재생 독립연구자 리빙랩 마을 마을공동체 마을만들기 메인뉴스 미디어 보건의료 보육 복지 부동산 부동산정책 불평등 비핵화 빅데이터 사회적경제 사회주택 사회혁신 소득주도성장 언론 여성 일자리 정책실험 주택 주택협동조합 청년 청년주거 출산율 텍스트마이닝 토지임대부 퇴사 평화체제 혁명사 협동조합

이 연구자의 다른 글

  • 위클리 펀치(599) ‘팀 킴’의 감동과 한반도의 규칙
    2018년 02월 27일
  • 위클리 펀치(598) ‘책 읽는 대통령’을 바라지 말자
    2018년 02월 19일
  • 위클리 펀치(570) 할인의 추억과 도서정가제
    2017년 08월 02일
  • [이슈해설] 버마인의 ‘국민 주권’을 지지하자
    2007년 10월 14일
  • [이슈해설] 재벌 연구소가 꺼낸 화두 뒤따르는 사회
    2007년 09월 30일

최근 연구 및 칼럼

  •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요약)

    2021년 02월 22일
  •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4대문 안 용적률 1,000%? 그 ‘컴팩트 시티’는 틀렸다

    2021년 01월 28일
  •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새책]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바꿔라

    2021년 01월 18일
  •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 사회혁신한마당] “어떻게 로컬에서 자원을 찾을까”

    2020년 12월 29일
  • [정책 실험과 행정 혁신③] 세계 최고의 스마트시티가 던지는 질문

    [정책 실험과 행정 혁신③] 세계 최고의 스마트시티가 던지는 질문

    2020년 12월 03일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33, 3층 | Phone: (02) 322-4692 | Fax: (02) 322-4693
Copyrightⓒ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Go to Top